공직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고강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습니다.
다음 달에는 전체 감사인력을 동원한 대대적인 감찰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태화 기자입니다.
【 기자 】
감사원과 국무총리실 등 사정라인이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국토부와 환경부가 연찬회 비용을 산하기관에 대납하게 하는 등 공직기강이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총리실은 올해 들어 적발한 60여 건의 공직비리 사례 가운데 11건을 공개했습니다.
중앙부처는 물론이고, 농촌진흥청 등 외청과 지자체·공공기관 등이 모두 포함돼 있습니다.
특히, 임기 말과 선거 그리고 기관장 교체시기와 맞물리면서 인사청탁 비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총리실은 오는 30일 처음으로 '공공기관 감사관 회의'를 직접 주관하고 내부감찰을 당부할 계획입니다.
이어 7월부터는 총리실과 감사원 등을 중심으로 1만 명의 감사인력을 총동원한 대대적인 감찰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청와대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국무회의에서 "부정부패가 이제는 한계에 왔다"면서 "이대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에 대해 "공직기강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집권 4년차의 대대적인 사정은 자칫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설명했습니다.
MBN뉴스 강태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