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6월 임시국회가 막을 올립니다.
저축은행 사태와 한미 FTA 비준안 등 대형 이슈가 산적해 있어 여야의 양보 없는 일전이 예상됩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상민 기자
【 질문 】
6월 국회, 거론되는 이슈만 해도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 쟁점을 짚어볼까요?
【 기자 】
먼저 거론되는 것이 저축은행 부실 사태입니다.
특히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금품수수 혐의가 드러나면서 사태는 더욱 확산하고 있는데요.
일단 여야 모두 국정조사를 통한 철저한 진상조사를 공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속내는 다릅니다.
한나라당은 지난 정권과의 연관성을 집중 부각한다는 생각입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각종 규제를 풀어준 것이 사태의 원인이라며, 전 정권과의 고리를 찾아내는 데 주력할 예정입니다.
반면 민주당은 은 감사위원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현 정권의 실세와 가까운 사이라는 점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비리가 아닌 현 정권의 비리로 보고 접근하겠다는 것입니다.
한미 FTA 비준안에 있어서는 한나라당이 상임위 상정 방침을, 민주당이 상정 저지 방침을 각각 밝히고 있어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나라당은 미 의회의 비준 상황에 맞춰 함께 처리하자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이익의 균형을 회복하려면 다시 협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반값 등록금을 중심으로 한 복지 논쟁과 추경 예산 편성, 북한 인권법 처리 등 주요 현안마다 여야의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려 치열한 공방이 예상됩니다.
【 질문 】
국회 이슈와 별도로 한나라당은 내부 문제도 만만치 않은데, 내일(30일) 전당대회 규칙 문제를 결론 내기로 했죠?
【 기자 】
네, 그제(27일) 11시간에 걸친 마라톤협상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한나라당 비대위는 내일(30일) 마지막 회의에서 최종 담판을 지을 예정입니다.
가장 큰 쟁점이었던 당권과 대권의 분리 문제는 지금의 규정을 지키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이렇게 결론이 난다면 대권에 도전하려는 인사는 7월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에 나설 수 없게 됩니다.
문제는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하는 부분인데요.
당 대표 권한 강화를 위해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아야 한다는 소장파와, 지금처럼 전당대회 1등이 대표를 나머지가 최고위원을 맡아야 한다는 중진의 의견이 팽팽합니다.
협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일각에서는 표결 처리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표결 역시 비대위가 상당한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만큼 끝까지 합의를 시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나라당은 경선 규칙 문제를 매듭짓는 대로 당헌·당규 개정 조문을 확정한 뒤 오는 7일 전국위원회에서 추인받을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MBN뉴스 이상민입니다. [ mini4173@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