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의 전격적인 방중이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인데요.
후계구도 공식화 행보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대남 정책에 커다란 변화는 없을 것이란 관측입니다.
이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북한의 후계자인 김정은이 중국 방문길에 오르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남북관계를 포함해 한반도 정세에 어떤 파문을 몰고 올지가 관심입니다.
정부는 김정은의 이번 방중이 한반도 정세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방중의 핵심은 후계자로서 중국 지도부와의 상견례를 갖는 데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도 남북 관계의 핵심은 우리 정부의 태도라고 지적하며, 방중이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고 분석합니다.
또 김정은이 후계자로서 가진 역할이 제한적이라 민감한 사안은 논의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김정은의 단독 방중은 민감한 사항 특히 대남, 북핵문제, 6자회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방중 이후 남북대화 재개와 관련해 긍정적인 흐름이 전개될 것이란 기대도 있습니다.
북한이 중국과의 협력 강화로 대내외적인 입지를 굳히면서 남북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세지면,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동북아 안정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MBN뉴스 이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