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방사선에 오염된 물을 방류하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뒤늦게 꾸려진 합동 태스크포스에서도 '불협화음'은 여전합니다.
강태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 4일 시작된 일본의 방사선 오염수 배출.
정부는 즉각 반발했지만, 지금까지 방류를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외교부는 교과부 탓을 하고 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교과부에서 우리나라가 방사능 피해를 입는다는 근거를 단 한 건도 제시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의 방류로 우리가 피해를 본다는 근거도 없이 항의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실제로 이틀이면 한국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일본 기상청의 발표와는 달리, 우리 기상청은 그럴 가능성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또 방류 초기 착수한다던 전문가의 영향 평가도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조병제 / 외교통상부 대변인
- "우리도 최대한 빨리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은 교과부에 제기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교과부의 생각은 다릅니다.
교과부 당국자는 "해외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취합하는 건 원래 외교부의 일로, 교과부에 책임을 묻는 건 맞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외교부가 자료를 주지 않으면 교과부는 분석작업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두 부처의 '책임 떠넘기기' 문제가 불거지자 총리실이 봉합에 나섰습니다.
▶ 인터뷰 : 육동한 / 총리실 국무차장
- "이게 어느 부처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협조하는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
지진 발생 한 달이 돼 가도록 각 부처가 제대로 된 협조를 시작하지도 못하는 동안, 국민의 불안감은 계속 고조되고 있습니다.
MBN뉴스 강태화입니다.[thka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