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80km 바깥지역에 체류하는 국민에 대해서도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공식적인 교민 대피령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교민 안전 문제로 정부도 고민에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엄성섭 기자.
【 기자 】
네, 외교통상부입니다.
【 질문 】
정부가 원전으로부터 80km 바깥지역에 체류하는 교민에 대해서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라고 권고했죠?
【 기자 】
네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80km 바깥지역에 체류하는 국민도 상황이 호전될 때까지 조금 더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외교적 문제 등으로 인해 공식적인 교민 철수 방침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교민들의 철수를 권고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와 관련해 사실상의 교민 대피령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졌는데요,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애매한 입장만 반복했습니다.
민 차관은 원전 80km 바깥의 특정한 거리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며, 본인들이 신변의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 상황을 상정해서 권고를 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민 차관은 또 일본 전체를 두고 이동을 얘기한 것은 아니며 특히 도쿄 등 다른 지역을 통틀어서 철수를 권고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공식적인 교민 대피령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공식적인 교민 대피령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교민 안전 문제로 정부도 고민에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적인 문제나 60만 명에 달하는 교민을 철수시키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공식적인 철수방침을 밝히기는 어렵지만, 교민 안전이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영국은 물론 가까운 중국까지도 전세기 등을 동원해 자국민 소개에 나선 상황에서 우리 정부만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누출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군용기와 해경경비함을 투입해 교민 철수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일본에서 한국으로 빠져나오는 사람들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관련 부처와 협의해 항공편을 늘리고, 비행기표 요금도 왕복요금을 편도요금으로 받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또 도쿄에 대한 '여행 유의' 조치와 미야기현 등 동북부 5개 현에 대한 '여행 자제' 경보를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 외교통상부에서 전해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