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심각해질 경우 군용기를 투입해 교민들을 철수시킬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국민 철수나 대사관 이전 등은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강태화 기자.
【 기자 】
네, 외교통상부입니다.
【 질문 】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국민을 긴급 철수시킬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죠?
【 기자 】
네,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누출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군용기와 해경경비함을 투입해 교민 철수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대지진에 따른 이재민 구호를 위해 내일(19일) 첫 전세 민항기를 투입해 담요 2천 장과 생수 100톤을 현지에 보낼 계획입니다.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오늘 오전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일본지진피해대책특위 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는데요.
민 차관은 "정부가 일본 원전 사태에 따른 여러 가지 상황에 대비하고 있고, 유사시 전세항공기와 선박을 포함해 군용기와 해경경비함, 그리고 군함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교민 철수에 나서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일본에서 한국으로 빠져나오는 사람들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관련 부처와 협의해 항공편을 늘리고, 비행기표 요금에서도 왕복요금을 편도요금으로 받도록 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원전 주변 80km 밖으로 대피하라고 경고한 것과 관련해, 반경 30km 이내에 살던 한 가구는 이미 대피를 완료했고, 30km 넘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 10여 명에 대해서는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권유했다고 말했습니다.
민 차관은 또 현재 센다이 총영사관에 신고가 접수된 교민 963명 가운데 730명은 안전이 확인됐고, 231명은 연락 두절 상태, 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교민은 1명이라고 보고했습니다.
【 질문 】
원전에 대한 위험 수위가 높아졌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우리 교민에 대한 철수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나요?
【 기자 】
일단 후쿠시마 원전 80km 밖으로 대피하라고 권고한 상태지만, 아직 교민 철수 등의 조치는 내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후쿠시마 지역은 물론이고 수도인 도쿄에서까지 외국인들의 '탈출 러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자국민의 일본 철수를 위해 전세기를 동원하는 등 속도는 내는 분위기입니다.
특히 미국 국무부는 도쿄와 요코하마, 나고야 일대에 거주하는 외교 공관원의 가족과 부양인 600명에게 자발적인 대피를 제안한 상태입니다.
이런 분위기는 미국을 포함해 영국과 프랑스, 호주 역시 비슷합니다.
일부 국가는 도쿄에 있는 대사관을 오사카로 임시 이전하는 조치까지 내렸습니다.
후쿠시마에서 200km 이상 떨어진 도쿄도 안전하지 않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우리 정부는 아직까지 자국민 철수나 대사관 이전 등은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로선 도쿄를 비롯한 일본 내의 상황이 최악의 단계가 아니라면서, 교민 철수 조치는 큰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일본과의 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논의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여진과 방사성 물질 누출이 계속될 경우 도쿄에 대한 '여행 유의' 조치와 미야기현 등 동북부 5개 현에 대한 '여행 자제' 경보를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 외교통상부에서 MBN뉴스 강태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