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면 여러 형태의 남북회담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2일) 경제지원을 노리며 회담을 요구한 북한에, 다시 대화의 공을 넘긴 것으로 풀이됩니다.
고정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진정성이 확인되면 다른 형태의 남북회담도 이어질 수 있다."
적십자회담,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 등 경제 지원을 노리며 모두 6통의 통지문을 보낸 북한에 대한 우리 정부의 회신입니다.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비핵화 의지 등 진정성 요건을 확인한 후에야 경제 지원을 위한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두고 북한의 무조건 대화 요구에 시큰둥하던 정부가 진정성을 전제로 역제안을 한 이후 조금씩 대화 재개로 방향을 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
민간인 피해를 가져온 연평도 도발에 대해 북한이 유감 표명을 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결백을 주장하는 천안함에 대한 사과까지 할 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입니다.
비핵화 문제도 최종적으로는 국제적인 합의체, 6자회담을 통해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남북대화로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북핵문제에 대해서 남북한의 논의를 하되 그것은 의사소통의 수준이지 협상의 수준으로 가지는 못할 것이다."
결국, 진정성 수용을 명분으로 대화의 물꼬는 트이겠지만, 실질적으로 진정성을 확인하는 작업은 국제 공조를 거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입니다.
MBN뉴스 고정수입니다. [ kjs0923@mbn.co.kr ]
▶ MBN 뉴스 더보기 Click !!!
▶ 매일매일 팡팡! 대박 세일! 소셜커머스 '엠팡(mpang.mbn.co.kr)' 오픈
▶ <코스피 2500p 향하여>상상 그 이상의 수익률, 눈으로 직접 확인하세요! 'MBN리치'
< Copyright ⓒ mbn(mb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