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명의 군 장병이 목숨을 잃은 천안함 사건 때도 김태영 국방장관은 자리를 잃지 않았었는데요.
이 대통령의 이번 경질 결정, 어떤 배경이 있는지 임진택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이 대통령은 천안함 사건이후 김태영 국방장관의 사의를 6개월 만에 수용했습니다.
형식은 '사의 수용'이었지만 사실상 경질이었습니다.
북한의 연평도 도발에 대한 우리 군의 총체적인 대응이 크게 미숙했다는 판단에섭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군의 대응에 대해 상당히 불만스러워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3월 천안함 폭침 사건 때도 국민 여론을 뒤로하고 기회를 줬지만, 이번에는 달랐습니다.
대북 경계에서 치명적인 헛점을 노출한 데다가 해명도 오락가락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김태영 국방장관의 '확전 자제' 발언이 전격 경질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 장관은 "단호히 대응하되 확전되지 않도록 관리하라"는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것처럼 답변했다가 논란이 일자 뒤늦게 말을 바꿔 혼선을 부추겼습니다.
지난해 9월 취임한 이후 서해 대청해전을 시작으로 끊임없는 북한의 도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김 장관은 결국 불명예 퇴장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MBN뉴스 임진택입니다. [jtim@mbn.co.kr]
[mbn리치 전문가방송 - 순도100% 황금종목 발굴]
< Copyright ⓒ mbn(mb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