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장소 문제 때문에 이산가족 상봉 절차에 합의하지 못했는데요,
면회소 사용 논란 속에는 금강산 관광 재개를 둘러싼 기 싸움이 숨어 있습니다.
박호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두루뭉술하게 '금강산 내'에서 하자고 했습니다.
남측은 금강산 면회소로 명확히 정하자며 맞섰습니다.
▶ 인터뷰 : 김의도 / 남측 수석대표
- "(북측은)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는 현재 동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기들 권한 밖의 일이고 이 문제는 관련기관 간의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는 언급을 했습니다."
금강산 면회소는 우리 정부가 550억 원을 투자해 지은 건물로, 지난해 처음 상봉 행사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박왕자 씨 피격 사건 후 금강산 관광 중단이 길어지자, 북한은 손해배상을 주장하며 지난 4월 면회소를 동결해버렸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의 일방적인 동결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상봉을 면회소에서 하지 않으면 북측의 동결조치를 인정하는 셈이 됩니다.
북측도 아직 면회소 동결을 풀 명분을 찾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남측이 금강산호텔이나 온정각 사용을 수용하든, 북측이 면회소의 일시적인 해제라는 해법을 찾아야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는 24일 추가 접촉에서도 합의되지 않으면 상봉자 선정과 생사확인 시간이 촉박해져 10월 상봉을 치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남북은 이산가족의 아픔을 덜어주기보다 상봉행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박호근입니다.
[mbn리치 전문가방송 - 순도100% 황금종목 발굴]
< Copyright ⓒ mbn(mb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