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흡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암 진단을 받은 환자가 담배를 피우면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51%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세대 의과대 예방의학교실 김현창·이호규 교수와 이혁희 강사 연구팀이 작성한 암 생존자의 흡연과 심혈관질환 발생률 간 관계를 규명한 논문은 19일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최신 호에 발표됐습니다.
연구팀은 2006∼2013년 암 진단을 받고 생존한 20세 이상 성인 중, 암 진단 전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30만 9천여 명을 대상으로 흡연 습관 변화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암 진단 후 흡연을 처음 시작하거나 한동안 담배를 피지 않다가 암 진단 후 흡연을 다시 시작한 환자군이 비흡연자 환자군보다 심혈관질환에 걸릴 확률이 51% 더 높았습니다.
암 진단을 받은 후 담배를 끊은 환자군이 심혈관질환에 걸릴 확률은 진단 전후 흡연하는 환자군보다 36% 낮았습니다.
연구팀은 흡연량을 절반 이상 줄이더라도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아지지 않아, 금연을 해야만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
김현창 교수는 "암을 완전히 치료한 후에도 우울증 등으로 계속 담배를 피우거나 새로 흡연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 암 생존자를 위한 금연 프로그램을 마련할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했다"라며 "이번 연구가 암 생존자의 금연 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오서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yoo98@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