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의 진단 및 치료가 암환자 치료와 생존에 중요
![]() |
↑ /사진=연합뉴스 |
유방암 진단 전 또는 진단 후에 나타난 우울증이 유방암 생존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켄터키 대학 암센터의 황빈(Bin Huang) 교수 연구팀이 2007~2011년 사이에 침윤성 유방암(invasive breast cancer) 진단을 받은 6천54명의 의료기록을 평균 4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뉴스 메디컬 라이프 사이언스(News Medical Life Sciences)가 19일 보도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들을 ▲우울증 병력이 없는 환자 ▲유방암 진단 전에만 우울증이 있었던 환자(3.7%) ▲유방암 진단 이후에 처음 우울증이 나타난 환자(6.2%) ▲유방암 진단 전부터 진단 후까지 우울증이 계속된 환자(4.1%) 등 4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그 결과 유방암 환자 6054명 중 지속적 우울증 환자는 4.1%, 암 이전 우울증 진단 환자는 3.7%, 암 이후 우울증 진단 환자는 6.2%로 조사됐으며 환자 중 29.2%는 가이드라인에서 추천된 유방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년에 걸친 추적 조사 기간에 환자의 26.3%가 사망했습니다.
암 발생 이전 우울증 진단을 받거나, 암 이후 우울증 진단(지속적 우울증은 아님)은 우울증이 없는 사람에 비해 생존률 저하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사망률 비교 결과, 암 이전 우울증 진단을 받은 경우 사망 위험이 26% 더 높고, 암 이후 우울증 진단은 사망 위험이 5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가이드라인에서 추천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이런 치료를 받은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118% 더 높았습니다.
연구 결과는 유방암 진단 시점과 그 이후 우울증의 진단 및 치료가 암환자 치료와 생존에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구를 이끈 빈 황 박사는는 “암 환자들이 우울증을 제대로 진단받지 않거나 치료받지 않는 경우가 많은 점을
이를 바탕으로 암 치료에서 우울증 관리를 위한 정책과 지침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양서정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1023ashle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