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
지속적으로 하루에 소주 3잔 이상을 마신다면 치매 위험이 8%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미 차병원 가정의학과 전근혜,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오늘(20일)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공동 연구팀은 지난 2009년 그리고 2011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393만 3,000여 명을 평균 6.3년 추적 관찰한 결과, 지속적인 과음이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연구 관찰 대상자 중 10만 282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습니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들을 △비음주군, 저위험 음주군 △중위험 음주군 △고위험 음주군으로 분류했습니다. 분류 기준은 약 맥주 375ml 1캔 또는 소주 1잔 반에 해당하는 알코올 15g입니다.
하루 동안 소주 1잔 반 미만으로 마신다면 '비음주군, 저위험 음주군', 1잔 반 이상 3잔 미만으로 마신다면 '중위험 음주군', 3잔 이상 마신다면 '고위험 음주군'으로 나눈 겁니다.
그 결과 고위험 음주군에 속한 사람들의 치매 발병 위험이 비음주군에 비해 8% 높았습니다.
고위험에서 중위험으로 음주량을 줄인 사람들의 경우, 계속 고위험군에 든 사람들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8% 감소했습니다.
아울러 비음주군이 중위험 이상으로 음주량을 늘린 경우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했습니다.
연구진은 "과도한 음주가 치매 위험을 올린다는 것이 이번 대규모 연구를 통해 증명됐다"며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음을 자제하는 것이 중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비음주자들이 경도, 중등도 음주를 하는 사람들보다 치매 위험이 약간 높게 나온 것은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술을 마시지 않았기 때문 일수도 있다"며 "비음주자가 치매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음주를 시작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