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사진 /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한 주부는 겨울방학이 끝나고 학교에 다니는 아이가 기침을 시작해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의 이유로 학교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다 보니 혹시나 코로나19에 재감염된 것은 아닌지 의심했습니다.
다행히 자가진단키트 검사 상 결과는 음성이었지만 점차 기침이 심해지고 고열과 오한을 반복해 부랴부랴 병원을 찾은 결과, 최근 아이들 사이에서 자주 발생하는 '급성 기관지염'이란 진단을 받고 치료 중입니다.
국민건강심사평가원 다빈도질병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급성 기관지염으로 진료를 본 환자는 5세 미만 1,445,095명, 5-9세 1,341,805명, 10-14세 687,334명, 15-19세 520,510명으로 소아청소년 모든 연령 구간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급성 기관지염은 기관지에 바이러스 혹은 박테리아, 독성 물질 등에 의해 급성으로 발생한 염증에 의한 질병입니다.
기관지는 우리 몸의 호흡기를 구성하는 장기이며 기관에서 양쪽 폐로 갈라져서 폐의 입구까지의 관을 말합니다.
기관지는 우리가 호흡한 공기를 폐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데, 소아의 급성기관지염은 50∼75%가 바이러스 감염이며, 2세 이하의 영유아들에게는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침은 급성 기관지염의 대표적인 증상인데, 한번 발병하면 심한 기침을 동반하며 숨을 가쁘게 몰아쉬고 쌕쌕거립니다.
간혹 폐렴을 의심할 정도로 기침이 심해서 입원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소아들은 기침 때문에 제대로 영양섭취를 하지 못해 탈수나 심각한 영양 불균형 상황에 놓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기에 감기 증상과 비슷해 약국에서 종합감기약을 사먹거나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다가 합병증이 동반되는 등 증상이 심각해져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호흡이 더 가빠지고 심장 박동도 급격히 증가합니다.
바이러스성 급성기관지염의 경우에는 심한 기침을 하다가 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아의 급성기관지염은 항생제 처방을 하지 않습니다. 만약 열이 동반된다면 해열제를 먹이고 기침 때문에 입맛이 없고 잘 먹지 못하는 경우에는 영양불균형 상태에서 면역력이 더욱 저하되고 탈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사를 통해 영양을 공급합니다.
연무식 흡입기(네뷸라이저)를 통해 약제를 투여하는 흡입치료가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약 성분을 마스크를 통해 코와 입으로 흡입하는 것으로 미세한 약 성분이 모세기관지까지 직접 도달하기 때문에 효과적입니다. 치료 도중 가래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등을 두드려 가래를 뱉어 내고 수분섭취를 충분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유지해주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되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콧물 약, 기관지 확장제, 기침약 등을 처방합니다.
무엇보다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대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익진 과장 / 사진 = 대동병원 제공 |
대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익진 과장은 "어릴 때 발생한 급성 기관지염을 초기에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을 경우 모세기관지염으로 이어져 심한 경우 폐렴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초기에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아이가 처음에는 감기 증상을 보이다가 갑자기 고열과 함께 보챔이 심하고 기침 및 호흡수가 매분 60회 이상 등 이상 증상을
이어 "급성기관지염을 치료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이의 생활환경을 깨끗하고 쾌적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며 "특히 부모가 흡연하거나 지나치게 건조한 환경에서는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진우 기자 tgar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