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심실 손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사망 위험을 예고하는 표지일 수 있다는 또 하나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우심실은 온몸을 돌면서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거둬들인 정맥혈을 우심방으로부터 받아 폐로 보내는 곳입니다. 정맥혈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산소를 새로 공급받은 뒤 다시 좌심방-좌심실을 거쳐 온몸으로 나갑니다.
미국 웨일 코넬의대 메디컬센터 심장전문의 김지원 박사 연구팀은 심장초음파(echocardiograms)에 나타난 우심실의 손상 징후가 코로나19 환자의 증상 악화와 사망 위험을 예고하는 강력하고도 독립적인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어제(27일) 보도했습니다.
예측 정확도(predictive value)는 다른 위험 지표들보다 훨씬 높다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지난 3월 초에서 5월 중순 사이에 웨일 코넬 메디컬센터 등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510명(평균연령 64세)을 대상으로 진행된 예후 예측검사(prognostic test)와 임상 결과 분석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환자들은 입원 때 심장초음파 검사를 받았습니다.
우심실 손상을 나타내는 표준 징후인 우심실 확장이 나타난 환자는 입원 초기에 사망할 가능성이 1.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우심실이 혈액을 폐로 펌프질해 내보낼 때 수축력이 정상 수준에 상당히 못 미치는 우심실 부전(ri
우심실 확장은 환자의 35%, 우심실 부전은 환자의 15%에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악화될 위험을 나타내는 그 어떤 다른 표준 지표들도 우심실 부전만큼 치명률을 강력하게 예고하지는 못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