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노출된 임신부가 저체중인 아이를 낳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출생 시기 체중은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저소득층 아이들이 이런 위험에 더 노출된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정다운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19일 조세재정브리프에 게재된 '대기 온도와 신생아 체중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자연재해의 불평등'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정 연구위원은 대기 온도 변화로 인한 폭염을 자연재해로 규정하고, 임신부가 임신 기간에 고온(일별 평균 온도가 30도)에 노출된 일수와 신생아 체중 사이의 관계를 검토했습니다.
신생아의 체중은 장기적으로 개인의 건강 수준 및 인적자본 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관점입니다.
이 연구는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도 간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코로나19나 스페인 독감과 같은 사회재난, 태풍·홍수·산불·지진 등 자연재해가 발생한 시점에 태어난 아이가 성인이 된 후 교육·건강·소득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정 연구위원은 2008년 4월부터 7월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를 추적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자료와 2008년 이후 시작한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복합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임신부가 임신 기간 중 하루평균 온도가 30도가 넘는 고온에 노출된 일수가 늘어날수록 저체중아를 출산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특히 임신 4~6개월 사이에 대기 온도와 신생아 체중 간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관찰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런 경향이 소득 상위 75% 가구에 비해 소득
결국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폭염 상황에서 저체중아를 낳을 가능성이 더 커지고 출생기 저체중은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