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64.3%가 운동 중 다친 경험이 있고, 전문 체육인과 생활체육인 모두 무리한 동작 탓에 가장 많이 다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스포츠안전재단(이사장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이 오늘(12일) 발표한 '2019 스포츠안전사고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부상 경험이 높은 종목은 농구(85.2%), 축구(84.9%), 야구·소프트볼(83.0%), 족구(81.8%) 순이었고, 주로 발목(38.1%), 무릎(20.5%), 손가락(11.1%)을 다쳤습니다.
전문 체육인은 연간 평균 5회, 생활 체육인은 연간 2.7회가량 다쳤으며 전문체육인은 펜싱, 양궁, 스키·스노보드, 생활체육인은 핸드볼, 태권도, 축구 순으로 부상 횟수가 많았습니다.
전문 체육인은 의사 진료(61.4%)를 거쳐 부상을 치료하지만, 생활 체육인은 주관적 판단 후 자가치료(58.7%)를 하는 경향이 높았습니다.
부상을 경험한 생활 체육인의 15.2%가 스포츠 활동을 중단했고, 49%는 체육 활동을 줄였습니다. 전문 체육인도 부상 후 스포츠 활동을 줄이거나 중단한 비율이 50%에 육박했습니다.
전문·생활 체육인들은 스포츠 안전사고 교육의 필요성을 70% 이상 인식하는데도 실제 교육을 받은 비율은 이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종목별 생활 스포츠 인구와 부상 경험자 비율 파악을 위한 '생활 스포츠 안전사고 인식조사'(만 19세 이상 3천 명 대상)와 부상 경험자의 세부 특성 파악을 위한 '
스포츠안전재단은 이번 조사 결과를 활용해 안전사고 예방과 효과적인 대처 사업을 지속해 운영할 참입니다.
재단은 2019년 대상과 종목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을 약 7만5천 명을 대상으로 1천373회 시행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