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인 오늘(13일) 차례상을 차리기에 앞서 차례상에 올릴 지방 쓰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방이란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 쓰이는 신주(神主)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뜻합니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 길이 22㎝의 깨끗한 한지(백지·창호지)에 붓을 이용해 작성해야 합니다. 예로부터 한자로 쓰는 게 전통적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도 자주 쓰이는 모양새입니다.
글씨는 세로로 써야합니다. 또한 지방 상단 모서리가 접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 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령의 자리로 설치된 장소)' 순으로 작성합니다.
부모님 차례의 경우 부친은 왼쪽, 모친은 오른쪽에 적습니다.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써야합니다.
부친은 '상고할 고(考)', 모친은 '죽은 어미 비(妣)', 조부는 '조고(祖考)', 조모는 '조비(祖妣)', 증조 이상은 '증(曾)'자와 '고(高)'를 앞에 붙입니다.
관계 뒤에는 직위를 적게 되는데 벼슬을 했다면 벼슬 이름을 붙이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예를 들어 부친은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