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움말 :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
*도움말 :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이하 ADHD)' 진단을 받은 환자가 2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9세 이상 성인만 살펴보았을 때 무려 56.1% 증가했다고 한다. 이는 ADHD로 진단을 받은 성인 수가 급증했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도대체 성인 ADHD란 무엇이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더 이상 아동기 장애가 아닌 ADHD
전문가들은 ADHD를 '고장난 발동기'에 비유한다. 그만큼 ADHD 환자는 잠시도 집중하기가 어렵고 끊임없이 움직이거나 돌아다니는 특징이 있다. 이름처럼 주의력이 결핍돼 있어 과잉행동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ADHD는 보통 아동기 장애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ADHD는 과거부터 오랜 기간 동안 아동들에게만 진단이 내려졌다. 보통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된 이후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집이나 비교적 아이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유치원에서는 ADHD의 특성을 잘 볼 수 없다. 반면 규칙이 엄격한 학교에서는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아동기에 ADHD 진단을 받았더라도 시간이 지나 청소년기, 그리고 성인기에 접어들면 ADHD 특성이 사라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눈에 띄는 산만한 행동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울증이나 사회생활 부적응을 호소하는 성인 중 주의력 결핍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들은 어린 시절 ADHD의 특성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과잉행동이 나타나지 않기에 ADHD를 극복했다고 생각했으나 사실은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이 차분해졌을 뿐 주의력 결핍의 문제는 여전한 것이었다.
때문에 지금은 성인에게도 ADHD 진단을 내리고 그에 적절한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성인 ADHD의 주요 특징
아동의 ADHD 주요 특징은 겉으로 드러나는 과잉행동이다. 산만하게 돌아다니고 주변 사람들에게 의도치 않게 피해를 주거나 자주 싸움에 휘말리는 등 문제 행동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주의력 결핍이 주요 특징이다. 일례로 회사에서 상사로부터 업무지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도 몇 분 이상 상사의 말에 집중하기가 어려워 계속 다른 생각이 든다면 주의력 결핍을 의심해야 한다.
주의력 결핍 때문에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일의 체계를 세우고 계획성 있게 실천하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이다. 막상 코앞에 닥치면 잘 해내기도 하지만 일에 펑크가 자주 나고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우기 어려워한다.
또한 약속 시간을 잘 지키지 않으며 정리정돈도 힘들어한다. 단지 게을러서가 아니다. 원래는 잘 했던 사람이 우울하기에 일시적으로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것도 아니다. 어린 시절부터 늘 반복돼왔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주변 사람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게으르거나 무능력한 사람이라 오해와 비난을 받기도 한다. 그래서 우울하기도 하고 계속 참기만 하다가 감정을 한 번에 폭발시키기에 충동적이라는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성인 ADHD라고 할 수 있다.
◆ADHD, 나를 바꿀 것인가 환경을 바꿀 것인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ADHD가 과연 치료가 필요한 장애인지 논란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잘 아는 수많은 위인들, 즉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을 비롯해 물리학의 천재 아인슈타인, 작곡가 모차르트, 화가 피카소 역시 성인 ADHD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ADHD는 늘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의 문제를 겪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좋아하거나 잘하는 것에는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단지 현대 사회가 규칙과 제도, 조직과 체계를 강조하는 탓에 ADHD가 이상하게 보일 뿐이니 그 자체로 질병이나 장애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그래서 ADHD를 치료할 것이 아니라 ADHD로 진단을 받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을 바꿔야 한다고도 한다. 실제로 미국의 수영 황제라 불리는 마이클 펠프스의 경우 7세 때부터 ADHD 치료 목적으로 수영을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수영을 할 때에는 고도의 집중력을 나타냈고 탁월한 재능도 발견해 수영 황제라 불릴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 환경을 바꾸기가 어려울 수 있다. 재직 중인 회사를 나와 자신에게 맞는 새로운 직업이나 일(주로 활동적인)을 찾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자신의 ADHD 증상을 고칠 필요가 있다. 엄밀히 말하면 증상 자체를 고친다기보다는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한 훈련인 심리치료가 필요하다. 계획을 세우고 지키는 연습, 집중력을 키우는 연습, 타인의 비난을 듣고
약물치료로 일시적인 효과를 볼 수는 있으나 완벽하게 치료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도 노력하고 연습하는 동시에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때에 따라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좋다.
원진재 매경헬스 기자 [ wjj12@mkhealth.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