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7 리콜 현대차 리콜=MBN |
7일 국토교통부는 현대 ·기아차에서 제작한 5개 차종 17만1348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5년간 국내 자동차 리콜 가운데 단일 사안으로는 2013년 현대 ·기아차 브레이크스위치 결함(82만5000대)과 2015년 르노삼성의 엔진마운트 파손(39만2000대)에 이어 3번째로 큰 규모다.
리콜 대상은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을 장착한 차량이다. 차종별로 그랜저(HG) 11만2670대, 소나타(YF) 6092대, K7(VG) 3만4153대, K5(TF) 1만3032대, 스포티지(SL) 5401대 등이다.
앞서 국토부는 세타2 엔진을 장착한 현대차의 일부 모델에서 엔진 소착(마찰열로 인해 접촉면이 달라붙는 현상)으로 인해 주행 중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언론 보도와 소비자 신고가 이어지자 지난해 10월 제작결함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조사를 맡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에서 소착 현상이 나타난다는
현대차는 전체 리콜 대상 차량을 대상으로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등 추가 검사를 한 뒤 결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차량에 한해서만 새롭게 개선한 엔진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또 국토부는 이번 현대차의 리콜 계획을 먼저 승인한 뒤 향후 리콜 방법이나 적정성 등에 대해 검증할 계획이다.
온라인이슈팀 mkculture@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