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속 중금속·곰팡이독소…인체에 안전한 수준"
![]() |
↑ 사진=연합뉴스 |
우리나라 국민이 주로 먹는 식품에 들어있는 중금속과 곰팡이독소 등 유해물질 64종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인체에 안전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이 섭취하는 식품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400여 품목을 대상으로 지난 5년간 실시한 '식품 유해물질 위해평가'의 일부 결과를 10일 공개했습니다.
식약처는 누구나 식품·의약품 안전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유해물질 위해평가, 신약과 의료기기 허가·심사 보고서 전문도 순차적으로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 납·카드뮴 등 중금속 섭취량 '안전 수준'
식약처는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400여 품목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226종의 함유량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자연환경에서 유래한 중금속(6종)과 곰팡이독소(8종), 제조·가공·조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해물질(50종) 등 총 64종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날 먼저 공개했습니다.
비소·수은·주석·카드뮴 등 국내 인체노출 안전기준이 설정된 18종은 식품 내 함유량이 인체에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납·벤조피렌 등 나머지 유해물질 46종의 함유량은 외국 기준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역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우리 국민의 납 섭취량은 2010년에 비해 40% 줄었고, 카드뮴은 50% 늘었습니다. 비소와 수은은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식약처는 이번 평가를 위해 지난 5년간 유해물질 노출량 조사를 24만 건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식품을 조사하면서 굽기와 끓이기 등 실제 식생활에서 쓰이는 조리방식을 썼고, 인체 노출 안전기준과 독성 기준값 등을 토대로 인체 위험 정도를 판정했습니다.
식약처는 첫 발표에 포함된 64종 유해물질의 경우 국민의 식품 섭취 경향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어 5년 주기로 재평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식품 유해물질 평가 전체 결과는 매년 분야별로 공개됩니다. 올해 중금속, 농약류, 감미료, 미생물 등 110종에 대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다이옥신 등 49종, 2018년에는 황색포도상구균
손문기 식약처장은 "식품 유해물질 위해평가는 산업체가 자발적으로 식품안전을 관리할 때 참고할 수 있고, 가정에서 유해물질이 적게 생성되는 방향으로 조리방식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