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먼지 대책/사진=MBN |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이 오히려 혼란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해서도 환경부와 해외연구기관이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놔 대책 마련 전에 정확한 발생원 분석이 이뤄졌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4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산하 공동연구센터(JRC)가 지난해 한국 등 세계 51개국의 미세먼지(PM) 발생원을 조사, 국제학술지 '대기환경'(Atmospheric Environment)에 공개한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국내 PM 발생원이 환경부 발표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는 최근 '바로 알면 보인다.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라는 소책자에서 2012년 전국 미세먼지 배출량은 10㎛ 이하 입자(PM10)가 약 12만t, 2.5㎛ 이하 입자(PM2.5)가 약 7만6천t이고, PM10 발생원은 제조업연소 65%, 교통(도로이동·비도로이동 오염원) 25%이며, PM2.5 발생원은 제조업연소 52%, 교통(도로이동·비도로이동 오염원) 33%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JRC는 이 연구에서 한국의 미세먼지 가운데 PM10 발생원은 '인간활동에 의한 불특정 오염원'(Unspecified sources of human origin)이 4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교통 21%, 산업 17%, 자연오염원 16%, 가정연료 3% 순으로 분석했습니다.
'인간활동에 의한 불특정 오염원'은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질소(NO₂)나 암모니아(NH₃), 이산화황(SO₂), 비메탄 휘발성 유기화합물(NMVOC) 등이 대기 중에서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2차 입자라고 JRC는 설명했습니다.
JRC는 PM2.5의 경우에도 '인간활동에 의한 불특정 오염원'이 45%를 차지하고, 교통 23%, 산업 15%, 자연오염원 12%, 가정연료 5%라고 밝혀 환경부가 PM2.5 발생원 중 '제조업연소'가 52%를 차지한다고 밝힌 것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 연구에서 한국은 미세먼지 발생원에서 '인간활동에 의한 불특정 오염원'의 비중이 PM2.5에서는 45%로 캐나다(62%), 미국(46%)에 이어 3번째로 높고, PM10에서는 43%로 미국(44%)에 이어 2번째로 높은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JRC는 연구 결과 PM2.5의 경우 세계 전체를 놓고 볼 때 25%는 교통에서 발생하고, 22%는 '인간활동에 의한 불특정 오염원', 20%는 가정연료, 15%는 산업,
서강대 화학과·과학커뮤니케이션 이덕환 교수는 "환경부와 JRC의 국내 미세먼지 발생원 분석 결과가 다른 이유는 명확지 않지만,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환경부의 조사와 분석이 부족한 것은 분명하다"며 "환경부는 대책 마련에 앞서 발생원을 정확히 파악하는 노력을 먼저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