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죽음의 순간 맞는 희귀 단계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소식이 화제다.
유럽남방천문대(이하 ESO)등 국제 천문학 공동연구팀은 칠레 VLT 망원경으로 촬영한 쌍으로 뭉친 2개의 백색왜성 사진을 공개했다.
지구에서 약 4500광년 떨어진 성운 ‘Henize 2-428’ 중심에 위치한 이 백색왜성들은 놀랍게도 함께 춤을 추듯 맞돌고 있습니다. 다소 생소한 단어인 백색왜성(white dwarf)은 우리의 태양 같은 항성이 진화 끝에 나타나는 종착지를 말합니다.
![]() |
↑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
이번에 관측된 마치 쌍둥이 같은 2개의 백색왜성은 서로가 서로를 빨아들이며 합쳐지는 단계로, 결국 하나가 된 별들은 ‘Ia형 초신성’(supernovae Type Ia)이 돼 폭발할 것으로 보고있다.
‘Ia형 초신성’은 항성의 ‘시체’인 백색왜성이 특이하게도 다시 한 번 빛을 발하며 ‘부활’하는 현상
이같은 이유에 대해 천문학자들은 백색왜성이 주위 별의 에너지를 흡수해 핵융합을 일으켜 다시 빛을 발하는 것으로 추측해 왔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번에 확인된 2개의 백색왜성은 이 같은 추측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되는 셈이다.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 쌍둥이 백색왜성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