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진단법 부터 틱장애, 입냄새 진단법 '총정리'
![]() |
↑ 강박장애 진단법/ 사진=MBC |
△ 강박장애 진단법
일반 인구 중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로 진단되는 경우는 2~3%로 비교적 흔한 병입니다.
발병시기는 사춘기에서 성인 초기이며 남녀의 비는 비슷하며 주요우울증이나 사회공포증 등의 병과 함께 나타나는 수가 많습니다.
정확한 강박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강박장애는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뇌영상연구에서는 뇌에서 전두엽-기저핵부위의 이상이 있다고 밝혀지고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가 원인은 아니지만 강박장애를 유발시키는 요인은 됩니다.
발병은 대개 급성적이고 심리적 유발요인이 있는 수가 많습니다.
하지만 발병해도 곧 정신과 치료를 받지 않고 평균 5~10년 만에 병원에 오게 됩니다.
강박장애는 만성적으로 되기 쉽고 경과가 나쁜 편입니다.
적절한 치료가 없으면 강박증세가 차차 악화되거나 우울증을 동반하게 되고 때로는 정신분열증으로 이행되기도 합니다.
치료 후 약 20~30%가 매우 호전되며 40~50%가 약간 호전되며 20~40%는 악화된다고 합니다.
강박장애의 나쁜 예후의 조건은 강박행위가 심할 때, 소아시절에 발병했을 때 강박행위가 괴이할 때, 그리고 입원해야 할 정도일 때, 우울증이 동반될 때, 망상적 믿음이 있을 때 등입니다.
좋은 예후는 강박사고가 주로일 때, 병전 사회, 직업적 적응이 좋았을 때, 유발인자가 있을 때, 증상이 삽화적일 때입니다.
△틱장애 진단법
틱장애란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얼굴이나 목, 어깨, 몸통 등의 신체 일부분을 아주 빠르게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틱장애는 특히 성장기 어린 아이들에게 자주 보이는 증상입니다.
틱장애가 1년 이상 지속되면 이를 만성 운동 틱라고 할 수 있습니다. 1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운동틱 또는 음성틱이 장애의 경과 중 일부 기간 동안 존재할 경우 이는 만성 운동 틱, 만성 음성 틱으로 볼 수 있습니다.
투렛 증후군은 비정상적 움직임과 소리를 내는 중증 복합 틱장애를 말합니다.
만성일 경우 틱은 1년 이상의 동안 거의 매일 또는 간헐적으로 하루에 몇 차례 일어나고 틱이 없는 기간이 3개월 이상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또 이 같은 경우는 18세 이전에 발병하며 가족 내에서나 학교에서 틱장애 때문에 심각한 고통이나 장애를 일으킵니다.
치료방법은 항도파민 제제를 사용하는 약물치료와 이완훈련, 습관-반전 등의 행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 입냄새 진단법
입냄새가 나는 원인으로는 충치나 치주염, 구강건조증, 흡연, 음주, 음식 등 다양하나 90% 이상이 구강상태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입냄새 진단법으로는 '할리미터(Halimeter)'라는 기기가 사용됩니다.
이는 보통 구취 클리닉 등에서 사용하지만, 이보다 더 간단한 방법이 최근 온라인 게시판에 게재돼 화제입니다.
'입냄새 진단법' 게시물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자신의 입냄새를 진단하는 방법들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손등이나 팔에 혀로
뿐만 아니라 혀의 백태를 면봉에 묻히고 냄새를 맡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전했습니다.
강박장애 진단법, 입냄새 진단법, 틱장애 진단법, 강박장애 진단법, 입냄새 진단법, 틱장애 진단법, 강박장애 진단법, 입냄새 진단법, 틱장애 진단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