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계절에 맞춰 옷을 바꿔 입듯이 차도 철에 따라 갖춰야할 것들이 있다. 그 중 안전운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어.
자동차 전문가들은 날이 추워지면 가장 먼저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이 안전운전의 첫걸음이라고 입을 모은다. 타이어 면은 차와 노면이 만나는 유일한 면이기 때문이다.
타이어가 겨울철 노면에서 미끄러지기 쉬운 것은 우선, 타이어 고무 표면이 딱딱하게 굳어지기 때문이다. 고무가 딱딱해지면 노면에 붙어있으려는 능력인 '그립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제동할 때나 코너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된다. 반드시 영하의 온도가 아니더라도 늦가을 부터는 타이어가 적정 온도에 오르지 못해 제 성능을 내지 못한다.
![](http://img2.mbn.co.kr/filewww/news/other/2011/11/07/001817011581.jpg)
스노타이어와 일반타이어의 어떤 부분이 다른지를 알아봤다.
◆ "열 내고, 부드럽게"…발포고무의 개발
빙판길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겨울철 타이어에 사용되는 첨단 기술은 발포고무 기술이다. 발포고무의 개발과 함께 스노타이어의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1982년, 일본 브리지스톤은 일반 타이어 고무재질과 비교해 고무 표면에 무수히 많은 기포가 있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고무재질을 개발했다. 발포고무는 빙판길 미끄러짐의 원인이 되는 수막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타이어의 열을 쉽게 오르도록 만들어져 있다.
또한 겨울용 타이어는 일반타이어 보다 부드러운 고무를 사용해 영하의 온도에서도 딱딱해지지 않는다. 하지만 겨울용 타이어는 2~3년이 지나면 표면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기능이 저하된다.
◆ "영하의 도로서 제동력 20% 향상"…타이어 트레가 뭐기에
고무재질과 함께 겨울용 타이어는 ‘트레드’라고 불리는 타이어의 표면 무늬가 일반 타이어와 다르다.
겨울용 타이어는 자동차가 좌우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타이어 표면에 세로로 블록을 넣었으며, 깊고 넓은 홈을 파서 쌓인 눈을 파고 들기 쉽도록 했다. 트레드에는 얇은 홈을 촘촘히 파서 수막이 생기는 것도 막는 동시에 열이 쉽게 오를 수 있도록 했다.
여기 수막현상을 없애는 발포고무, 타이어 고무를 부드럽게 해주는 실리카고무 등 특수 고무재질을 활용함과 동시에 빙판길과 젖은 노면에 적합한 트레드 설계로 인해 겨울용 타이어는 영하에서 제동시 일반 타이어보다 20% 이상 덜 미끄러진다.
![](http://img2.mbn.co.kr/filewww/news/other/2011/11/07/117005012518.jpg)
자동차 전문가들은 스노타이어는 겨울철 안전운전을 위한 최소한의 ‘보험’이라고 입을 모은다. 비용이 조금 더 비싸더라도, 차량 사고를 일으키는 것 보다는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는 설명이다. 일기예보에 우산을 준비해 외출하는 것처럼, 겨울철에는 영하의 날씨와 스노타이어를 장착하고 주행해야 한다.
브리지스톤코리아의 송진우 차장은 “흔히 스노타이어라고 하면 눈길을 생각하지만, 영하의 온도에서는 접지력, 제동력, 조종안정성이 극도로 악화되기 때문에 눈이 있건 없건 겨울에 꼭 필요한게 스노타이어”라고 말했다.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야 하는걸 알면서도 기존 타이어의 보관 공간이 마땅치 않아 골치를 썩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최근 한국타이어 티스테이션에서는 겨울용 타이어
김한용 기자 / whynot@top-rider.com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