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행성 척추질환을 앓는 요통 환자들이 잘못된 자세와 부족한 운동량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근육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급성기의 척추질환이나 척추 뼈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운동부족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허리 근력이 약화가 요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허리를 지탱해주는 근육이 약해지면 몸의 충격이 척추 뼈나 디스크로 직접 전달이 된다. 때문에 디스크에 직접적으로 많은 부담이 가해져 요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운동량이 거의 없는 비만 환자의 경우 척추를 지탱하는 근육이 약해지고 자세가 나빠지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실제로 디스크 환자 중 59%가량이 비만이라는 보고도 있었다.
비만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몸 안의 지방은 쌓이는 반면 근육량은 적어진다. 이 때문에 근육이 약화돼 척추와 디스크 등을 잘 받쳐주지 못해 디스크 질환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명수 세란병원 척추센터장은 “특히 복부비만이 심각한 사람들은 배가 나오면서 앞쪽으로 중심이 이동해 허리뼈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요통이 많이 생기고 심한 경우 허리 디스크로 발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원인 질환이 있는 요통이라도 증상이 비교적 초기인 사람, 수술여부와는 상관없이 허리 근력이 약해져 통증이 더 심한 사람 역시 선택적 근육 강화 운동을 실시하면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허리 근육을 튼튼히 하는 운동에는 스트레칭이나 걷기가 좋다. 이때는 운동 능력을 고려한 범위 내에서 꾸준한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요통이라 해도 운동을 피해야 할
또한 외상을 입은 후에 요통이 시작됐거나 흔히 허리를 삐었다고 하는 ‘급성요부 염좌’ 시에도 운동은 피해야 한다.
한석영 매경헬스 [hansy@mkhealt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