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태 당시 군의 움직임과 관련해서도 대통령과 군 지휘관의 증언이 충돌하고 있습니다.
결국 군 통신 기록이 사실과 책임을 확인할 결정적 증거, '스모킹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12·3 계엄사태 당일 국군 정보사령부 병력은 밤 10시 반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장악했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계엄령 발령 담화 방송으로 국민께 알린 이후에 병력을 이동시키라고 지시했습니다."
경기도 안양에 있는 정보사령부에서 과천에 위치한 선관위까지는 약 11km, 차로 20분 정도 걸립니다.
윤석열 대통령 말대로라면, 정보사 병력은 20분 거리를 단 6분 만에 도착한 셈입니다.
현장 지휘관 증언도 윤 대통령 주장과는 어긋납니다.
▶ 인터뷰 : 문상호 / 전 국군 정보사령관 (지난 10일)
- "그 (야간 임무)지시를 받을 당시에 '과천 정부청사 인근에서 한 21시 (밤 9시) 어간에 대기할 수 있도록 해라'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윤 대통령은 국회에 투입한 병력 철수를 지시한 건 자신이라고도 주장했습니다.
'철수는 지휘관 자체 판단'이었다는 증언과 배치되는 대목입니다.
▶ 인터뷰 : 곽종근 /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지난 10일)
- "(4일) 01시 09분 부로 국회뿐 아니고 각 지역에 전개했던 특전사 모든 부대에 대한 임무를 중지시키고 안전지역으로 이탈시켰습니다."
계엄 당일의 사실과 책임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통신 기록 확보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대령 이상 지휘관이 도감청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이른바 '비밀통화 휴대전화'는 포렌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통신 기록 확보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전민석입니다. [janmin@mbn.co.kr]
영상편집 : 김상진
그 래 픽 : 염하연 고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