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 MBN |
근로자 절반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싶어하지만 실제 활용 비율은 15%대에 머무르고 있는 가운데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유연근무제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18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일·생활 균형 정책 세미나'에서는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해법이 모색됐습니다.
이 자리에 손연정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장시간 근로, 경직적 근로관행을 벗어나 일과 자녀 양육을 병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유연근무제는 일·생활 균형, 노동자의 웰빙, 성평등, 출산율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자료에 따르면 유연근무제 활용률은 2016년 4.2%에서 코로나19 이후 2021년 16.8%까지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다시 감소해 15.6%에 머물렀습니다. 팬데믹이라는 특수 상황에서 반짝 증가했다가 감소세로 돌아선 겁니다.
유연근무제 활용률은 떨어지고 있는 반면, 지난해 기준 전체 임금 근로자의 47%는 유연근무제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손 연구위원은 "유연근무 활성화를 위해선 업무 과정에 대한 통제보다는 업무 결과를 강조하는 직장문화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조직 내 신뢰 구축이 전제 되어야 도입과 유지가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전반적인 근로시간 단축과 양질의 촘촘한 돌봄서비스 제공이 전제돼야 하며, 노동자 스스로가 노동시간과 강도를 늘리는 '유연성의 역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유연근무제가 근무 방식의 표준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습니다.
그러면서 "유연근무제가 전통적 성 역할을 강화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저출생 문제 해결의 핵심은 '일과 생활의 균형'을 회복하는 고용노동정책"이라며 "지금까지의 사고방식과 틀에 갇힌 관성적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모든 것을 원점에서 고민해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