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총 1조6668억원 규모의 '2022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접수 결과, 총 51개 업체가 3년간 사업비 4472억원의 투자자금 융자 지원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융자사업 신청·접수결과를 분석하면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분야를 위주로 탄소중립을 위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융자지원 신청액 대부분은 시설투자로, 전체 신청액의 약 87%(3874억원)를 차지했고, 나머지 13%(598억원)는 R&D 투자 신청액이다.
정부는 이같은 신청 결과를 국내 산업계가 2030 산업부문 NDC 달성을 위해 시설투자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의미로 봤다. 특히 기업 유형별로 중소·중견기업이 전체 신청 기업의 96.1%(49곳), 신청금액도 중소·중견기업이 전체 규모의 83.8%(3746억원)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중립 시설에 대한 투자는 일반 투자 보다 리스크가 더 많다"며 "따라서 중소·중견기업들도 친환경 시설로의 전환이 필요하지만 이들 사업은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 지원 대상에 선정될 경우 기업들은 총 10년(3년 거치, 7년 분할상환)에 걸쳐 저리(1.3%)에 융자금을 상환하면 된다. 프로젝트 유형별로는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자원순환, 철강 등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과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분야가 대부분을(64.7%, 33곳)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자원순환(10곳), CCUS(4곳), 정유·석유화학(4곳), 시멘트·철강(4곳), 수소생산·차세대태양광(3곳), 이차전지·전기전자(3곳) 등과 관련된 설비 투자 지원을 요청했다.
가령 철강업을 영위하는 A기업은 유연탄을 많이 쓰는 고로(용광로)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25%에 불과한 전기로를 도입하는 사업을 위해 450억원 규모의 융자지원을 신청했다. 수소를 생산하는 B기업의 경우 납사를 이용한 열분해 대신 무촉매
정부는 접수된 51개 업체에 대해 적합성 검토를 완료한 뒤 기술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평가결과를 융자사업 심의위원회에 상정한 뒤 우수 선도프로젝트를 선정하고, 프로젝트별 융자지원액을 내달 말까지 확정한다.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