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2차 국민보고대회 ◆
↑ 2일 서울 남산에서 내려다본 용산구 일대 전경. 삼각지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남쪽(사진 상단) 한강변엔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 빌딩들이 들어서 있는 반면 북쪽(하단)엔 저층 주택과 상가 건물이 몰려 있어 대비를 이룬다. [이승환 기자] |
과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은 2006년 8월 정부가 추진한 '철도경영 정상화 종합대책'과 함께 시작됐다. 철도청이 2005년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 전환하면서 떠안은 4조5000억원의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보유 중이던 철도 정비창 용지를 개발해 부채 상환 계획을 세우며 개발 사업이 본격화됐다.
코레일은 사업 추진을 위해 '드림허브PFV'를 설립하고 자금 조달에 나섰다. 당초 정비창 용지를 팔아 부채를 해소한다는 계획이었지만, 토지 매입비가 예상을 뛰어넘고 8조원으로 급증하는 등 천문학적 개발 이익이 예상되자 입장을 바꿔 시행자로 나선 셈이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기관들이 신용 보강을 위해 1조원 규모 지급 보증을 삼성물산을 비롯한 드림허브 출자 건설사에 요구하면서 사업이 삐걱대기 시작했다. 삼성물산은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하며 주관사 자리를 반납했고, 이후 롯데관광개발이 사업을 주도했다.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은 개발 방식을 두고 의견 차이를 좀처럼 좁히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자금 조달에 대한 어려움이 계속되고 드림허브PFV가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면서 용산 개발 사업은 끝내 좌초됐다. 천문학적인 사업 규모로 주목받았지만 1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용산은 제자리걸음만 한 셈이다. 용산의 미래에 대한 '장밋빛 전망'은 온데간데없고 용산의 시간이 멈춰 선 동안 민간업체 손실만 1조원(2017년 말 기준) 넘게 쌓였다.
용산 개발 사업이 좌초된 표면적 이유는 2000년대 중후반 글로벌 금융위기지만 따지고 보면 결국 '인재(人災)'라는 지적이다. 이정형 중앙대 교수는 "정치권력 교체로 인한 사업의 잦은 변경 탓에 불확실성이 커졌고, 개발을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없어 서로 다른 부처의 이해관계를 조율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경우 서부 이촌동을 끌어들여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인허가권을 틀어쥐고 있었음에도 '모르쇠'로 일관했다. 특히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개발이 아닌 '보존과 재생'을 시정 핵심 키워드로 잡으면서 용산 개발은 사실상 수명이 다했다는 지적이다. 시민·환경단체의 반발도 악재로 작용했다.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 간 갈등이 지속되면서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 길도 사실상 막혔다.
[특별취재팀 = 이진우 국차장 겸 지식부장 / 서찬동 부장(팀장) /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 김대기 기자 / 정석환 기자 / 유준호 기자 / 이축복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