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 = 강영국 기자] |
8일 직방에 따르면, 2020년 신축아파트의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은 전국 76.6%, 서울 86.3%로 조사됐다. 2018년과 비교해 전국 7.1%포인트, 서울 1.7%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인천·경기와 지방은 각각 5.8%포인트, 6.8%포인트 상승한 76.4%,73.3%로 나타났다.
올해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격대별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은 전국의 경우 6억~9억원 이하가 82.4%로 가장 높았다. 인천·경기의 분양가 6억~9억원 이하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90.7%)이 상승을 경인했다. 서울의 6억~9억원 이하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은 81.6%로 80% 이상으로 조사됐다.
서울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은 4억원 이하가 90.0%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4억~6억원 이하 89.8%, 15억원 초과 89.6%, 6억~9억원 81.6% 순으로 집계됐다. 분양가격이 6억원 이하에서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15억원 초과도 강남·서초에서 전세거래가 발생하면서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이 90%에 육박했다.
이에 비해 지방은 모든 분양가격대가 80% 이하로 조사됐고, 분양가 15억원 초과 아파트가 53.7%로 가장 낮았다.
↑ 2020년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과 기존 아파트 매매실거래가 대비 전세실거래가 [자료= 국토부, 직방] |
특히 서울의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과 기존 아파트 매매실거래가 대비 전세실거래가 간 차이는 29.6%포인트로, 기존 아파트보다 분양아파트가 전세를 활용한 레버리지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25.1%p), 세종 (20.3%p), 광주(12.6%p) 지역도 기존 아파트의 매매실거래가 대비 전세실거래가 보다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 차이가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신축 아파트 분양가 대비 전세가율이 세종(67.6%)을 제외하고 광주 89.2%, 대전 95.7%로 높게 조사됐다.
이들 지역은 청약시장에 호황이 이어지는 곳들로, 분양 이후 발생하는 시세차익과 신축 아파트 선호현장뿐만 아니라 전세를 활용한 자금 조달의 수월성도 청약광풍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서울은 분양가의 80% 이상을 전세를 활용해 조달할 수 있어 초기 20%의 계약금만 자기자본만 필요한 상황이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전인 만큼 거주의무기간에 대한 부담도 없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수도권 외에도 지방의 공공주택으로
[조성신 기자 robgu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