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조깅을 즐기는 40대 중반 여성 김모씨. 김씨는 시간이 있을 때마다 조깅을 즐긴다. 그렇게 땀을 빼고 나면 상쾌한 기분이 들고, 건강도 좋아지는 느낌이 든다. 또 김씨는 취미 생활로 지인들과 함께 10년 전부터 붓글씨를 써왔다. 먹을 갈고 정성들여 붓글씨를 쓰는 몇 시간 동안 단정한 자세로 양반다리를 한다.
하지만 몇해 전부터 김씨는 무릎쪽에 통증이 생기기 시작했다. 김씨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조깅을 즐겼고, 양반다리를 한 상태로 붓글씨를 썼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는 앉았다가 일어날 때나 계단을 오를 때면 무릎 통증이 심하게 느껴진다. 참다 못해 병원을 찾은 김씨는 퇴행성 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주로 고령층에 생길 것이라 생각한 질병이 본인에게 생겼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던 김씨. 의료진은 김씨에게 체중 감량과 함께 약물 치료를 권했다.
대표적인 고령화 질환인 퇴행성 관절염은 통증이 발생한다면 의심해봐야 한다. 퇴행성 관절염이 있으면 오래 서있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관절에 통증이 느껴진다.
가천대 길병원 정형외과 심재앙 교수는 5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80% 이상에서 무릎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퇴행성 관절염 증상을 호소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 퇴행성 관절염은 고령화 추세에 맞춰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지난 2012년 5만7230건, 2015년 6만1734건, 2017년 6만9770건으로 연평균 4%씩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은 젊은 층에서도 발생한다. 관절에 무리가 갈 만큼 비만이 있거나 직업적 특성상 쪼그려 앉는 등 관절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젊은 층은 관절에 이상이 있더라도 무심하게 넘어갈 수 있어 상황이 악화돼서야 진료를 받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령에 관계없이 퇴행성 관절염이 의심된다면 조기 발견 및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 연골이 닳아서 없어지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무릎에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지만 움직이기 시작하면 아프고, 계단을 올라갈 때나 특히 내려갈 때, 바닥에서 일어날 때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또 많이 활동한 후인 저녁이 아침보다 통증이 더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심재앙 교수는 "퇴행성 관절염도 조기 발견이 무척 중요한데, 발병 초기에는 물리 치료 및 약물 치료, 운동 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한 치료가 가능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며 "하지만 질환이 방치돼 악화될 경우 인공관절 같은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소에 관절을 소중히 여기고 평상시 운동을 통해 연골과 관절 주변의 근육 등을 단련시켜 놓는 것도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관절 건강을 지키려면 적당한 휴식과 운동이 필수적이다. 무리한 활동을 했다면 중간 중간 휴식을 취하고, 과도한 관절 부하 요인을 없애도록 해야 한다. 관절 건강에 좋은 운동으로는 가볍게 걷기, 자전거, 수영 같은 유산소 운동이 좋다. 이들 운동은 관절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켜 주기 때문에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 수영의 경우 관절에 부담을 줄여주면서 통증도 감소시켜주기 때문에 매우 좋다. 반면에 조깅 같은 경우는 관절에 지속적이고 꾸준한 부담을 줘 해롭다.
또 비만은 지속적으로 관절에 많은 무리를 주기 때문에 체중을 감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균 체중의 여성이 몸무게를 5kg 줄이면 발생률이 반 이하로 줄어든다는 연구도 있다.
이와 함께 평소 방바닥에 앉거나, 양반다리, 다리 꼬기와 같은 나쁜 자세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 좌식 생활은 관절에 많은 부담을 주기 때문에 관절 건강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피해야 한다.
퇴행성 관절염이 지속돼 관절 손상이 심해졌다면 인공관절로 통증 제거와 기능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인공관절은 기존 무릎 관절을 대체하는 인공 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다. 기존에 비수술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없는 환자나 류마티스 관절염, 연골이 전부 제거된 환자, 무릎 통증이 심한 환자 및 관절 변형이 심각한 환자들에게 사용된다.
하지만 수술도 모든 환자들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질환 정도뿐 아니라 건강 상태, 활동성, 사회
[이병문 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