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국토부] |
장수명 주택이란 구조체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면서 내장 부품과 설비배관(Infill)의 교체·변경이 용이해 100년 사용을 위한 내구성, 가변성, 수리용이성이 높은 주택을 말한다.
이번 실증단지는 '비용절감형 장수명 주택 보급모델 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R&D에 따라 조성됐으며, 1080세대 중 장수명 주택 116세대(최우수 28세대, 우수 30세대, 양호 58세대)를 포함해 건설됐다.
공사는 2016년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진행됐으며, 사업비는 청부출연금 38억원과 LH출연금 109억원 등 총 147억원이 들었다.
국토부는 공동주택의 물리적·기능적 수명이 짧은 우리나라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주택수명 100년을 목표로 구조체의 수명을 늘리고 내장설비를 쉽게 고쳐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수명 주택 제도를 도입·연구해 왔다.
특히 장수명 주택이 초기 건설비용 증가로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비용절감형 장수명 주택 보급모델 개발 및 실증단지 구축' 연구개발사업을 2014년 9월부터 진행했으며, 장수명 주택 건설비용을 벽식 구조와 유사한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설계·시공 기술개발, 장수명 주택 보급모델 개발, 비용실증 등을 추진했다.
그 결과 비장수명 주택 대비 약 3~6% 수준의 공사비용 증가로 장수명 주택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초기 건설비가 소폭 늘어나긴 하지만 100년간의 생애주기비용(LCC)은 비장수명 주택 대비 11~18%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철거와 재건축 횟수를 줄여 장수명 주택 양호등급을 기준으로 온실가스는 약 17%, 건설폐기물은 약 85%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비장수명 주택 대비)
국토부는 그간의 연구제반과 실증결과를 반영해 기본·실시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작·배포했다. 실증 단지 내 6세대의 성능시험관을 조성해 일반인들도 장수명 주택을 알 수 있도록 방문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가구 증가 둔화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주택 수요가 줄어들면 노후화된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