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체절골술과 함께 전방 추체 사이의 앞쪽 종인대를 함께 절제함으로써 노인성 후만변형 환자가 수술 후 완벽한 생리적 허리곡선을 되찾았다. [사진 = 강동경희대병원] |
심한 노인성 후만변형은 수술적 치료 밖에 방법이 없다. 워낙 뼈가 약하고 근육이 약한 나이다보니 수술 직후에는 결과가 좋지만, 수술 후 골다공증 및 근감소증으로 인한 수술 인접부위의 골절이나 약화된 근육 때문에 1~3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면서 허리가 다시 굽는 재변형, 지속되는 통증 등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았다. 이런 경우 재수술까지 이어질 수 있어 환자 부담감은 매우 클 수밖에 없었다.
이와 관련해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가 노인성 후만변형 환자(허리가 굽는 환자)의 합병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새로운 수술적 기법을 개발해 그 시행결과를 발표했다.
김용찬 교수는 70세이상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수술시행 결과, 기존 수술법에 비해 수술직후 임상적·방사선적 결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비롯해 수술 후 3년이상 기간 동안 허리가 다시 굽어지거나 뼈가 골절되는 부작용 및 합병증이 효과적으로 예방됐으며 이는 2019년 대한척추외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2019년 일본척추외과학회(Japanese Spine Society Research)에 발표했고 유럽 척추외과 학술지(European Spine Journal)에도 게재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 심한 노인성 후만변형으로 수술을 받은 78세 환자(여)는 수술 3년 후에도 허리곡선이 잘 유지되고 있다. [사진 = 강동경희대병원] |
김용찬 교수팀은 전방 추체 사이 유합술과 후방기기 고정술을 병합한 새로운 수술방법을 개발했다. 기존 수술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추체 사이의 전방 종인대를 함께 부분 절제하는 수술법이다. 기존 추체절골술 후에 완벽한 구현되지 못했던 생리적 허리 곡선을 최대한 구현했으며, 빈번한 불유합으로 인한 재변형에 의한 재수술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다. 또 수술 직후 얻었던 허리 곡선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됨을 확인했다.
노인성 후만변형이란 나이가 들면서 허리가 굽어 등이 많이 튀어나온 상태를 말한다. 오랜 기간 농사일을 하거나 허리를 오랫동안 구부리는 일을 많이 하시는 노인에서 많이 나타난다. 요추(허리)가 자꾸 굽어지면서 허리에 통증이 생기며, 조금만 걸어도 힘들고 피곤해 장시간 보행이 어려워진다. 물건을 들거나 등을 구부릴 때 심한 경우, 걸어 다닐 때도 통증이 발생한다. 또 허리가 굽어 시선이 아래로 향하게 되어 걷는 것 자체가 힘들다. 대부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골밀도 검사나 MRI를 통해 기타 골절과 골다공증까지 함께 검사한다.
통증이 심할 경우 일단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하고 보조기를 착용하지만 근본적인 치료법이 되진 않는다. 골다공증 매우 심하거나 근력이 매우 약한 경우를 제외하면 수술적 치료가 진행된다.
그 동안 표준 수술법으로 시행되어왔던 추체절골술은 노인의 생리적 특성상 근육이 약하고, 골다공증이 심하기 때문에, 수술 직후는 결과가 우수하지만 2년 이상 추시하면서 약한 근육으로 다시 허리가 굽어지게 되거나 약한 뼈의 상태로 골다공증성 골절이 일어나서 다시 수술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김용찬 교수 [사진 = 강동경희대병원] |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