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국 스타트업 분석기관인 스타트업게놈(Startup Genome)이 지난달 발표한 '스타트업 생태계 보고서' 등을 인용해 지난 2일 이같이 밝혔다.
작년 국내 벤처투자 금액은 3조4239억원으로 글로벌 벤처캐피탈 투자금액 2540억달러(약 300조원)에 현저히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기 단계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평균 투자금은 10만7000달러(약 1억2700억원)로 글로벌 평균 투자액 28만4000달러의 3분의 1 수준이다.
스타트업 육성 평균 투자총액 기준에서는 글로벌 도시가 8억3700만 달러로 서울(8500만달러)의 약 10배에 달한다.
서울은 '초기 투자금 성장 지표' 부문에서 10점 만점에 1점을 받아 사업 초기에 시장을 선점해야 할 국내 스타트업들이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전경련은 스타트업 투자금 회수와 관련해서도 국제적인 흐름과는 동떨어진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스타트업의 인수·합병(M&A)을 통한 투자금 회수는 670억원 규모로, 글로벌 스타트업의 총 회수 금액 2190억달러(260조원)의 0.000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M&A로 투자금 회수에 성공한 국내 벤처기업은 25개사로, 같은 방식으로 회수를 진행한 글로벌 벤처기업 4229개사의 0.006% 수준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한국의 '투자금 회수 성장 지표' 부문을 10점 만점에 4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초기 투자금 성장 지표와 더불어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경쟁력을 하락시키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벤처 M&A시장에서 글로벌 유수기업들이 인수자로서 활발히 활동했지만 국내 대기업은 눈에 띄지 않았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이루어진 스타트업 M&A 세계 30대 인수기업에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반면 미국의 경우 22개사가 포함돼 기업의 활발한 참여가 투자금 선순환 구조를 창출했을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생태계의 우수성을 인정받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스타트업 게놈은 격년으로 발표하는 이 보고서에서 스타트업 생태계가 잘 구축된 도시 상위 20곳을 선정하는데, 서울은 조사가 시작된 2012년 이후 한 번도 해당 순위에 들지 못했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협력실장은 "스타트업 생태계가 커지려면 스타트업은 초기 투자금을 원활하게 유치하고 투자자들은 쉽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선순환이 중요하다"며 "M&A 활성화 등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스타트업의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018년 벤처투자를 받는 국내 벤처·스타트업 1072개사의 고용인원은 4만1199명으로, 2017년 대비 20% 늘어난 6706명의 신규고용 창출을 기록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설하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