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
10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6월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3.8%로 역대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지난해 말(92.8%)에 비해 1.0%포인트(p) 상승한 수준이다.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상승 폭은 중국(2.4%p)에 이어 BIS가 자료를 집계하는 주요 43개국 중 두 번째로 컸다.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최근 5년간 점점 더 빨라졌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전년 대비 증가폭이 2012년 1.1%포인트에서 2013년 1.5%포인트, 2014년 1.9%포인트, 2015년 3.9%포인트, 2016년 4.7%포인트로 커졌다.
세계 순위도 이 기간 17위→12위→9위→4위→3위로 계속 올라갔고 올해는 2위까지 기록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자체도 8위로 올라섰다. 2011년에는 79.7%로 13위였는데 2015년 이후로 현재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78.2%)이나 유로존(58.1%), 일본(57.4%)은 물론 영국(87.2%) 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스위스(127.5%)에 이어 호주(121.9%), 덴마크(117.2%), 네덜란드(106.8%), 노르웨이(101.6%), 캐나다(100.5%), 뉴질랜드(94.5%) 뿐이다.
18개 신흥국 중에서는 한국이 단연 가장 높다. 태국(68.9%)이나 홍콩(68.5%), 말레이시아(68.0%)와 격차가 상당하다.
올해 상반기 한국의 가계부채는 경제 규모 뿐 아니라 소득 대비로도 빠르게 늘었다. 월 말 기준 DSR(Debt service ratios·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는 12.6%로 작년 말 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BIS가 집계한 주요 17개국
DSR가 높으면 소득에 비해 미래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한국은 DSR가 꾸준히 상승했다. 반면, 네덜란드(-0.4%p)와 덴마크(0.5%p)는 DSR가 한국보다 높지만 올해 들어 하락했다. 다만 DSR 비교시에 국가별로 만기 등 부채 구조가 다른 점은 감안해야 한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