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에서 기획재정부에서 제출한 내년 예산 요구안이 424조5000억원으로 올해 예산보다 23조9000억원, 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회취약계층 복지확대와 국방비 증액 등 문재인 대통령 대선 공약에 맞춰 정부 부처들이 관련 예산을 조정한 영향이다. 지난해 2017년 예산 요구안이 전년대비 3% 증가하는 데 그쳤던 데 비해 증가율은 2배로 늘어났다.
기획재정부는 12일 이같은 내용의 '2018년도 예산 요구 현황'을 발표했다.
각 부처가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2018년도 예산·기금의 총지출 요구 규모는 2017년(400조5000억원)대비 23조9000억원(6.0%) 증가한 424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예산사업이 294조6000억원으로 2017년(274조7000억원) 대비 19조9000억원 늘어나고(증가율 7.2%) 기금이 129조9000억원으로 2017년(125.9조원) 대비 4.0조원(3.2%) 증가한 영향이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지출증가율 부분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선거 과정에서 "정부 예산(총지출) 증가율을 3.5%에서 7%로 2배 높이겠다"고 공약한 데 보조를 맞춰 정부 지출증가율이 7%에 달했다.
지난해 6월 집계된 예산 요구안의 경우 증가율이 3.0%로 2015년 6%, 2016년 4.1%에 이어 해마다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와는 정반대 현상이 벌어진 셈이다.
분야별로는 복지·교육·연구개발(R&D)·국방 등 7개 분야가 올해보다 늘어난 반면 사회간접자본(SOC)·산업·농림 등 5개 분야는 줄었다.특히 보건 복지 고용 분야 예산 증가율이 높았다. 기초생활보장급여, 4대 공적연금, 기초연금 등 의무지출이 증가하고 장애인·노인 등 취약계층 지원 예산 요구가 늘었다. 예산은 2017년 129조5000억원에서 2018년 141조1000억원으로 요구예산이 11조6000억원 늘어 증가율이 8.9%에 달했다.
국방 분야도 킬체인(Kill Chain) 등 북핵 위협 대응 강화와 장병 처우개선 등 소요 증가로 예산이 올해 40조3000억원에서 내년 43조7000억원으로 8.4%나 증가했다. 지방교부세 증가에 따른 일반·지방행정 분야(9% 증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증가에 따른 교육 분야(7% 증가) 증가율이 높은 분야다.
반면 SOC 분야는 도로·철도 등 사업 감소로 15.5% 대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예산이 22조1000억원인 반면 내년 예산 요구안은 18조7000억원이었다. 이어서 문화 분야가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시설 지원
기재부 관계자는 "각 부처 요구안을 토대로 2018년 정부예산안을 편성·확정해 9월 1일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강도 높은 재정개혁 등을 통해 마련된 재원을 일자리 창출 등 신정부 공약 및 국정과제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