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실업률, 11년만에 최고…청년실업률 1999년 외환위기 수준 도달
↑ 사진=연합뉴스 |
조선업을 비롯한 산업계에 구조조정의 한파가 몰아치면서 제조업 취업자가 7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취업자 증가 폭은 2개월 연속 20만 명대에 그쳤고 청년실업률은 10월 기준으로 외환위기 여파로 몸살을 앓던 1999년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10월 기준으로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을 보면 10월 취업자는 2천657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8천명 늘었습니다.
취업자 증가 폭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기저효과를 누렸던 8월 38만7천명 늘어났다가 9월 26만7천명으로 떨어지 뒤 두 달째 20만 명대에 머물렀습니다.
조선업 경기 둔화와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11만5천명 감소한 영향이 컸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7월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든 이후 4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걸으며 감소 폭이 점차 커지는 추세입니다.
특히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은 2009년 9월 11만8천명 이후 가장 컸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증가했습니다.
30대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감소폭이 9월 4만2천명에서 10월 6만1천명으로 확대됐으며, 40대는 5만1천명에서 10만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30대와 40대는 해당 연령대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요인이 크다"면서도 "40대는 특히 여성이 감소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되고 있다. 고용사정이 남자보다 훨씬 부진한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고용률은 61.1%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3%포인트 상승한 66.5%였습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2.4%로 0.7%포인트 올랐습니다.
실업률은 0.3%포인트 상승한 3.4%였다. 실업률은 10월 기준으로 2005년 3.6%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실업자는 40대에서 감소했지만 20·30대 중심으로 증가해 전체 실업자는 1년 전보다 8만4천명 늘었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1년 전보다 1.1%포인트 상승한 8.5%로 같은 달 기준으로 볼 때 1999년 8.6% 이후 최고였습니다.
청년층 실업자는 1년 전보다 5만4천명 늘어났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 3)은 10.0%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의 실업률이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상승한 3.6%를 기록해 전국에서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울산 지역의 실업률 상승 폭은 2014년 6월 1.7%포인트 이후 최대였습니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외에도 농림어업(-4만6천명), 운수업(-1만명) 등이 감소했습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10만5천명), 건설업(5만9천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9만2천명) 등에서는 고용이 늘었습니다.
임금근로자는 15만8천명 늘어난 1천968만7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중 고용계약이 1년 이상인 상시근로자는 25만6천명(2.0%) 증가했지만 계약 기간 1개월∼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는 6만7천명(-1.3%),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일용근로자는 3만명(-2.0%) 감소했습니다.
자영업자는 12만4천명(2.2%) 증가하고 무급가족봉사자는 4천명(-0.3%) 감소해 전체 비임금근로자는 12만명(1.8%) 늘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1만3천명으로 1천명 증가했습니다.
그중 '쉬었음' 인구는 144만6천명으로 7만7천명 감소했습니다.
취업을 위해 학원 등을 다니는 취업 준비생은 65만2천명으로 1만5천명 늘었습니다.
구직단념자는 44만9천명으로 2만2천명 줄어들었습니다.
심 과장은 "9월(26만7천명)보다 전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늘어난 것은 제조업에서 취업자가 많이 줄었지만 도소매, 건설업에서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울산의 실업률 증가 폭이 큰 것은 구조조정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10월 고용동향에 대해 "서비스업이 취업자 증가세를 주도했다. 코리아세일페스타에 따른 내수진작 및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 영향으로 도소매·숙박음식업 증가세가 확대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제조업은
정부는 "추경과 10조원 규모의 추가 경기보강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민간부문 활력제고를 통해 고용여건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