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망과 관련해 단기 위험이 줄어들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후 내놓은 성명서에 들어간 이 문장 하나가 시장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작지만 신중한 발언 변화’라는 평가와 함께 5월 고용시장 급랭과 브렉시트 후폭풍을 걱정하며 수세적 입장을 내비쳤던 지난 6월 FOMC 회의때에 비해 ‘매파적 색채’를 드러냈다는게 월가 반응이다. 지난 6월 23일 영국이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를 전격 결정할 때만해도 연준이 연내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에는 부담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글로벌 경제가 시계제로 상황에 빠지면서 영국과 일본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추가 통화완화책을 적극 시사한 가운데 미국만 ‘나홀로 금리인상’을 고집할 경우 강달러 충격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브렉시트 투표에 따른 단기 충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자 오히려 미국증시는 사상최고치를 경신했고 주택경기도 활황세를 이어가는 모습을 연출했다. 6월 고용지표도 한달만에 급격히 호전됐다. 이처럼 단기적인 경기리스크가 줄어들고 경기회복 지속 기대감이 커지면서 7월 FOMC 정례회의 성명서가 다소 매파적으로 변했고 9월 기준인상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는 분석이다. 이와관련해 미국 경제전문매체 마켓워치는 “대다수 전문가들이 예상했던것보다 연준이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 강한 힌트를 줬다”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당장 금리를 올릴 준비가 안돼 있지만 투자자들은 (연준이) 빨리 변화할 수 있다는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바클레이즈는 “7~8월 노동시장 개선추세가 지속될 경우 9월 인상도 가능할 것”이라며 “7월 고용지표, 일본은행(BOJ)과 영란은행(BOE) 통화완화정책에 대한 시장 반응을 확인한뒤 연준이 8월 잭슨홀 회의때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 보다 명확한 시그널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변수가 있다. 대통령 선거(11월 8일)라는 미국 최대 정치 이벤트다. 미 대선을 앞두고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연준이 쉽게 꺼내들지 못할 것이라는게 시장의 진단이다. 상당수 월가 전문가들이 ‘12월 인상’에 방점을 찍은 이유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는 7월 FOMC 성명서가 연준 기준금리인상에 대한 전망치를 바꿀 정도는 아니라는 반응을 보였다. BOA메릴린치는 “단기 리스크 감소 표현은 향후 금리인상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지만 9월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며 올해 12월 한차례 인상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JP모건체이스도 12월 인상 전망을 고수했다.
일본은행(BOJ)은 29일 금융정책결정회의후 추가금융완화조치를 내놓을 것이라는게 시장 전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조사에서 시장관계자 28명중 80%에 달하는 22명이 BOJ의 추가 완화조치가 불가피하다고 답했다. BOJ 내부에서도 재정확대와 투·융자를 총동원해 300조원의 대규모 경제대책을 준비중인 일본 정부와 발맞춰 BOJ도 통화정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증시 부양을 위해 연 3조3000억엔을 사들이고 있는 ETF를 추가 매입하는 방안이 있다. BOJ로서는 부담이 덜한 정책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잔뜩 부풀어있는 시장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진단이다. 때문에 -0.1%인 마이너스 금리를 더 내리는 방안이 함께 거론되고 있다. 마이너스 금리를 더 내리면 민간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확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마이너스 금리 도입후 대규모 손실을 면치 못하고 있는 메가뱅크들의 반발이 관건이다. 연 80조엔씩 공급중인 통화량을 연 90조엔 정도로 늘릴 것이라는 전망도
[뉴욕 = 황인혁 특파원 / 도쿄 = 황형규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