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이 신속하게 투입됐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는데요, 한편으로는 회수가 불가능한 수십조원은 결국 재정부담으로 남게 됐습니다.
계속해서 박대일 기자가 취재 보도합니다.
외환위기는 무분별한 차입경영을 한 기업과 이를 방치한 금융기관의 합작품이었습니다.
한 번 망가진 금융시장은 걷잡을 수 없이 마비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복구하기 위해 97년부터 2001년까지 매년 공적자금 수십조원이 금융기관에 투입됩니다.
대규모 공적자금의 투입이 가능했던 데는 든든한 재정건전성이 뒷받침됐습니다.
인터뷰 : 김광수 /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 "우리나라가 다른 어느 나라보다 재정을 건전하게 유지해 왔기 때문에 충분히 공적자금을 조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습니다."
당시 공적자금의 투입 속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 권순우 /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우리는 기업과 금융기관이 관련된 아주 복잡한 구조였기 때문에 대규모 공적자금이 신속히 투입될 필요가 있었고 실제로 효과가 상당히 컸습니다."
인터뷰 : 권영준 / 경희대 경제학부 교수
- "처음 한 방에 주사를 맞으면 치유할 수 있는 환자가 나중에 병이 늘어지고 부작용이 생기면서 공적자금이 더 많이 들어간 측면이 있습니다."
경제의 혈맥을 가까스로 재건했지만 남은 문제가 있습니다.
168조원 가운데 40~50조원은 회수가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현재 공적자금 회수율은 53%.
장기적으로는 회수율이 70%까지 높아진다지만 나머지는 국민들의 부담으로 남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밖에 공적자금이 단기간에 대규모로 투입되는 것을 틈타 일부에서는 도덕적 해이가 속출했고, 부실에 책임이 있는 기업의 경영진이나 금융기관에 엄격한 책임을 묻지도 않았습니다.
박대일 기자
-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공적자금은 일등공신이었습니다. 그러나 과연 그 돈이 쓰여야 할 곳에 제대로 사용됐는 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재조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n뉴스 박대일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