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앙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급격한 엔고를 불러올 것이고, 결과적으로 한국 수출기업들이 최고 수혜자가 될 것입니다”
히로마치 시라카와 크레디트스위스(CS) 일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5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양적완화가 지속 불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하고, 사전예고도 없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해 오히려 부작용이 극심해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엔화 강세를 막지 못해 1년 안에 엔화 환율이 달러당 105엔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엔화의 추가 절상을 예상해 향후 12개월 엔화값 전망치를 기존 달러당 125엔에서 105엔으로 16%나 대폭 상향 조정한 것이다.
다만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오는 3월 BOJ가 마이너스 금리를 더 확대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엔화 환율이 달러당 110엔대까지 위협받으면 3월 추가 금리 인하카드를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별 효과가 없을 것이고 마이너스 금리 부작용을 감안하면 금리 동결이 현재로선 최선”이라고 주장했다.
거꾸로 일본 마이너스 금리정책의 가장 큰 수혜자는 한국 기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당연히 일본 수출기업들 실적은 유로화나 위안화보다 원화 대비 엔화 환율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엔고로 한국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눈에 띄게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엔화강세가 지속되면 결국 아베노믹스의 핵심과제로 내걸었던 ‘물가상승률 2%’ 목표치를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시라카와 이코노미스트는 “금융당국이 60~70%의 확률로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내려놓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최대한 서둘러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기존 방침에서 물러나 10년 기한을 두는 식으로 후퇴할 가능성 크다”고 전망했다.
물가상승률 2%를 포기하지 않으려면 미국 채권 등 외화 자산을 매입해서라도 엔화 강세를 막아야 하는데 이럴 경우 국제적 비난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는 “국제사회를 납득시키려면 엔화 자산은 이미 충분히 매입해 투자할 만한 일본 채권 등이 고갈됐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올해 안에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환율 이외에 마이너스 금리 도입의 가장 큰 폐해로는 일본 민간은행의 ‘중개기능 훼손‘을 꼽았다. 저수익 은행이 퇴출되고 인수·합병이 진행되면서 금융시스템 전반적으로 구조조정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김윤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