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내 채권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이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衆論)이다.
실제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채권보유 및 운용관련 종사자 128개 기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82개 기관 115명이 응답한 결과를 보면,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전문가들은 지난달 5.4%에서 이달 81.7%로 크게 늘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확장적 재정정책(41조원 규모 경기 부양 패키지)과 한은의 통화정책과의 공조 가능성을 금리인하의 주요 배경으로 꼽는다.
이민구 NH농협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달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의 41조원의 규모의 경기부양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또 "이미 시장에서는 금리인하를 선반영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된다면 금융시장 내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도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소비 등 내수 개선세가 미약해 경기 회복세가 부진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기준금리가 인하된다면 국내 경기 회복세 제고를 위한 정책조합의 필요성이 작용한 결과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칫 정부와의 정책공조 시기를 놓칠 경우 김중수 한은 전 총재에 꼬리표처럼 붙어 다니는 실기 논란에 다시 휩싸일 수 있다는 부담감도 한은의 금리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경기 회복세가 미약하다는 점이 금리인하 전망에 비중을 더 두는 배경으로 꼽힌다. 실제 실물경제를 보면 소비 등 내수 개선세가 미약해 경기 회복세가 부진한 양상이다. 제조업 생산(전년 동기 대비)은 1분기 1.8%에서 2분기 0.3%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소비는 세월호 사고 여파로 4월중 악화됐다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세월호 사태에 따른 소비 침체가 단기적 영향에 그칠지는 두고봐야할 상황이다.
한은은 이러한 경제상황을 고려해 지난달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0%에서 3.8%로 0.2%포인트 낮췄다. 2분기에는 전기 대비 0
한편,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 시각도 감지되고 있다. 1000조원을 넘어선 가계 빚 우려에 더해 금리인하 효과 여부 등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매경닷컴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