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새해 첫 순방국으로 인도를 선택한 이유는 뭘까요?
오늘 한·인도 정상회담 성과는 대부분은 '경제 협력'에 맞춰져 있었습니다.
김성철 기자입니다.
【 기자 】
2005년 6월 포스코는 인도 오디샤에 1,200만 톤 규모의 제철소 건립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습니다.
하지만, 지역 시민 단체를 중심으로 한 반대, 뜨듯 미지근한 주 정부의 일 처리로 제철소 건립을 위한 첫 삽도 뜨지 못하고 8년 6개월의 시간만 흘러갔습니다.
회장이 인도인인 세계 1위 철강업체 아르셀로미탈도 비슷한이유로 인도 동부에 600만 톤 규모의 제철소 건립 계획을 끝내 포기했습니다.
까다로운 규제와 늦은 인허가 그리고 지역 주민의 반발에다 지역·종교·사회계층으로 갈라져 있는 인도 진출은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하지만, 12억 명을 넘는 인도 내수시장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당장, 이번 정상회담으로 탄력을 받은 포스코 인도 제철소가 가동되면 7조 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습니다.
또,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소 30기 건설과 각종 도로 건설 등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도 매력적입니다.
세계 시장점유율 3위를 달리는 소프트웨어 산업과 1,100억 달러 규모의 IT산업 그리고 자력으로 화성 탐사선을 발사할 정도의 우주과학 기술 능력은 창조경제의 협력 대상으로 적격입니다.
경제뿐 아니라 중국과 국경을 맞댄 인도 처지에서도 동북아에서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는 한국과 외교적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상황입니다.
MBN뉴스 김성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