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잇단 금리 인상 여파로 서울 아파트 거래시장이 사진처럼 꽁꽁 얼어 붙었다. [사진 = 김호영 기자] |
2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건수 기준)은 9821건으로 집계됐따. 이는 1∼9월 누적 거래량 기준 2020년(6만2888건)과 2021년(3만7306건) 대비 각각 15.6%, 26.3% , 2020년 6만2888건의 15.6%에 불과하다. 집값 급등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 대출) 수요까지 주택 매수세가 폭증한 2020년 6월(1만5623건), 7월(1만655건)의 한 달 치 거래량보다 적은 수준이다.
이달 말까지로 아직 신고기간이 남아 있지만, 9월 거래량은 이날 현재 604건으로, 한 달 전인 8월(674건)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주택 거래 시장은 정부의 대출 중단 등 규제 강화와 계속되는 금리 인상으로 지난해 말부터 급속히 냉각됐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최근 한국은행이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 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10월 거래량은 현재까지 200건에 그치는 등 거래 절벽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주택이 시장에 매물로 나온 이후 계약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올해 상반기 4개월이 넘는 17.9주(국토연구원 자료)가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13.3주, 지난해 하반기 14.0주에서 크게 늘어난 것이다.
주택거래가 줄면서 매물이 쌓일듯 하지만, 서울 아파트 매물은 되레 감소했다. 실제 아실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한달 전 5만9449건에서 현재 5만8500건으로 1.6% 줄었다. 반면, 전월세 물건은 한 달 전 6만1356건에서 현재 7만4846건으로 21.9% 늘었다. 집을 내놔도 팔리지 않자 집주인들이 전월세로 돌려 내놓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매매시장에 이어 전세 시장에도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세 역시 거래가 줄고 매물 적체현상이
이에 비해 월세는 금리 인상 여파로 선호도가 높아지며 지난해 하반기 9.3주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8.6주로 줄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