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서울 민간 미분양 주택이 전 평형 통틀어 75가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도심 아파트 전경. [매경DB] |
지난달 서울 민간 미분양 물량이 75가구에 불과하고, 그나마도 모두 5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84㎡ 1가구가 4월까지 미분양이었지만 이달 계약이 되면서 30평대 물량은 단 한 채도 남지 않은 것이다. 이 같은 분양 가뭄은 분양가 통제에 반발하는 사업장이 속출하면서 정비사업이 멈춘 영향이다. 예를 들어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인 둔촌주공아파트는 분양가 심사로 조합원 간에 갈등을 빚다가 결국 분양 일정이 올해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4월 말 민간 미분양 주택(준공 전 포함)은 단 75가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광진구 자양동 3-7 일원(105가구) 내 84㎡ 1가구가 유일한 30평대였고 나머지는 모두 전용면적 60㎡ 이하였다. 구로구 오류동 358 일대 28가구, 강동구 천호동 467-11 외 10필지 9가구, 강동구 길동 413-11 외 2필지 38가구는 주로 전용 13~44㎡에 불과한 곳이었다. 초소형이거나 입지가 아주 좋지 않은 분양 말고는 사실상 서울에 미분양 물량이 없다는 얘기다.
특히 유일한 준공 전 미분양인 84㎡ 1가구마저도 계약자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아파트는 아직 준공되기 전이다. 시행사 관계자는 "이 물건은 계약은 됐는데 일단은 청약금만 먼저 들어온 상태고, 나머지 계약금은 곧 들어올 예정"이라며 "계약금이 다 들어오지 않은 상태라 통계에는 미분양으로 잡히지만, 현재 분양이 가능한 매물은 상가 말고 없다"고 설명했다.
미분양 주택은 그나마 무주택 실수요자가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노려볼 수 있는 전략 중 하나다. 청약 아파트는 경쟁이 심해 40대 이하 무주택자의 가점으로는 당첨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5월 중 분양한 화성 동탄2신도시 동탄역 디에트르는 1순위 청약 경쟁률 809대1을 기록했다. 그러나 미분양 물량이 자취를 감추며 무주택자가 설 자리는 더 좁아진 형국이다.
이렇게 분양 물량이 부족한 건 분양가 통제 등 여러 규제 영향이 크다. 특히 업계에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2016년 8월 이후 고분양가 심사 제도를 도입한 이후 분양 물량이 대폭 줄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을 선분양할 때는 HUG의 분양보증을 받아야만 입주자 모집공고를 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HUG가 분양가 통제 수단으로 보증을 거절하는 일이 빈번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분양보증을 해주는 기관은 HUG뿐이다. 시행사 등은 울며 겨자 먹기로 HUG가 원하는 분양가를 맞춰야 한다.
지난 2월 주택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고분양가 심사 제도를 도입한 이후 인허가를 받고도 분양을 보류한 물량 비율이 4배 이상 증가했다. 고분양가 심사 제도를 도입하기 전인 2014~2016년 분양 보류 물량 비율은 5%에 그쳤지만, 제도가 도입된 이후인 2017~2019년에는 21%로 늘어났다.
HUG의 분양가 통제로 일정이 밀린 대표적인 사업지가 단군 이래 최대 규모 재건축 사업장으로 꼽히는 강동구 둔춘주공아파트다. 2년 전 기존 조합이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HUG가 제시한 3.3㎡당 2978만원을 밀어붙이자 조합
[김태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