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매경DB] |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는 Y씨(32)도 조건에 맞는 아파트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는 "역세권은 바라지 않지만, 주변에 버스 정류장이 가까운 곳도 가격이 천차만별"이라며 아파트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지어 서울에 거주 중인 P씨(26)는 "역세권과 주변 환경 모두 조건에 부합하는 아파트 매물은 정말 구경하는 것도 힘들다"고 말했다.
27일 한국갤럽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주택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교통환경'(52.4%)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관 쾌적성(16.35%) ▲지역발전 가능성 및 투자가치(11.9%) ▲주변 편의시설(10%) ▲학교·학군 등 교육 시설(5.15%) ▲가격(3.15%)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주택 이외의 거처 선택에서도 동일하다. 국토부가 현재 주택 이외의 거처 선택 이유에 대해 37만여 가구에 물은 결과 67.8%가 '통근·통학에 좋은 위치'를 꼽았다.
역세권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이유는 대부분 시간 단축을 위한 편리성과 주변의 생활 인프라가 안정적으로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수요집중 현상으로 역세권의 아파트 매물 가격은 다른 지역과 달리 상승 폭과 신규 분양 청약경쟁률이 높게 나타난다.
실제 내년 개통 예정인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선 산곡역 역세권 단지인 모 아파트의 가격은 1년 만에 2억원가량(국토부 자료 기준)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변 아파트는 약 5000만원 상승하는 데 그쳤다.
1~10월 경기·인천 지역에서 분양한 사업장의 청약경쟁률 상위 5개 중 4개가 역세권에 입지했
한 주택업계 관계자는 "역세권 주변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것은 당연하다. 역세권 가격 증가 현상은 앞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최근에는 역세권을 포함해 조용한 주거 환경을 찾는 사람도 급증해 조건에 따른 아파트 가격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완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