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이어 올해도 급등한 공시가격 영향이다. 부동산 규제로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잠시 멈칫한 가운데 정부 의도대로 집값이 하반기 떨어질 경우, 세금만 더 내게되는 주택 보유자들의 불만이 커질 전망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5일 '주택 공시가격 제도가 주택분 보유세에 미치는 영향'를 통해 올해 주택분 종부세 및 재산세는 모두 6조5900억원이 걷힐 것이라고 추정했다. 종부세는 지난해 대비 4700억원(48.6%) 증가한 1조4300억원, 재산세는 2900억원(6%) 늘어난 5조1600억원이 걷힐 것이라는 예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주택분 보유세가 늘어나는 가장 큰 요인은 공시가격 상승이다. 올해 늘어나게 될 보유세 7600억원 중 6700억원이 공시가격 상승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 공시가격은 정부가 매년 전국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의 가격을 평가해 발표한다. 공시가격은 재산세와 종부세의 과세표준으로 활용된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전국 평균 5.98%로 최근 5년(2016∼2020년) 이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전국 평균 5.98%로 최근 5년(2016∼2020년) 이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6~2020년 연평균 상승률(5.33%)보다 0.65%포인트 높고, 작년(5.23%)보다는 0.75%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가격대별로 살펴보면 공시가격이 시세 9억원 이상의 주택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6억원 미만 중저가주택에서는 4% 미만의 낮은 상승률을 보인 데 반해, 15억~30억원의 고가주택에서는 26.2%, 30억원 이상의 고가주택에서는 27.4% 올랐다.
고가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정부의 공시가격 시세반영 비율(공시가격 현실화율) 인상 정책과 관련이 있다고 예정처는 밝혔다. 정부는 공시가격 시세반영 비율이 낮고 유형별·가격대별로 불균형하다고 판단해 올해 고가주택(시세 9억원 이상)을 중심으로 시세반영 비율을 인상한 바 있다.
예정청의 이같은 지적은 정부가 집값을 잡기위해 무리하게 공시가격을 단기간내 끌어 올리면서 가격대별 공
[이지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