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8년 11월 1일 기준 주택을 11채 이상 소유한 사람은 3만7487명으로 전년 대비 2.1%(756명)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제공되기 시작한 2012년 이후 최대치다.
주택 11채 이상 소유자는 2012~2014년 2만명대에 머물렀지만, 2015년 3만6205명으로 급등한 뒤 소폭 등락을 거듭하다 올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주택을 51채 이상 소유한 사람은 1882명이었다. 51채 이상 소유자는 2012년 949명에 불과했지만 2015년 290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을 보유한 가구 중 주택자산가액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가액은 9억7700만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1억원 가까이 급등했다. 상위 10% 가구와 하위 10% 가구 간 주택자산가액 차이는 평균 38배로 지난해(35배)보다 양극화가 심해졌다.
정부가 지난해 다주택자와 부동산 임대사업자에 대해 과세를 강화한 가운데 다주택자가 늘어난 점이 눈길을 끈다. 정부는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세율을 인상하고, 임대주택사업자 세제 혜택을 축소했다. 이처럼 다주택자 수가 급증하고 주택가격도 크게 오르는 추세가 부동산 버블 붕괴를 앞둔 2000년대 미국 주택 시장과 유사하다는 경고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서 낸 '다주택 구입과 주택 시장 거품·붕괴'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다주택 구입 비중은 2000년 21%에서 2006년 36%로 크게 증가했다. 이 기간 다주택자의 주택 구매가 집중된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률도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게 집계됐다.
지난 6년간 한국 부동
[문재용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