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한국감정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4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7억9921만원으로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의 5억7028만원보다 2억원 넘게 올랐다. 상승률로 보면 40.1%에 달한다.
서울 25개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지난 2년간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5개 자치구는 성동·용산·서대문·동작·마포구로 나타났다. 결국 강남 집값을 잡겠다고 했지만 이보다는 애먼 비강남권 주택 가격을 더 치솟게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성동구는 지난 2년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72%에 달했고, 용산구도 66%나 올랐다. 이들 자치구의 2019년 4월 기준 평균 매매가격은 각각 8억7238만원과 13억6727만원으로 서울 평균 가격을 훌쩍 넘겼다. 가장 가격 상승률이 낮은 관악구조차도 2년간 상승률이 18%에 달했고 나머지는 모두 30%에 육박하는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을 포함한 경기·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도 27.9% 상승했다. 지난달 수도권 전체의 평균 매매가격은 4억8892만원으로 5억원에 육박했다. 서울 집값이 고공 행진을 하자 경기도로 이탈하는 가구 수가 많았는데, 경기도도 집값이 오를 대로 올라 내 집 마련이 쉽지 않아졌다는 분석이다.
김 의원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7일 3기 신도시 추가 지정을 발표하면서 최근 주택시장이 안정화되고 있다고 자평했는데 이는 국민 기만이자 눈속임"이라면서 "문재인정부 출범 후 서울 집값은 거의 1.5배가 됐다. 그렇게 만든 장본인이 이제 와서 자화자찬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현 정부는 출범 직후인 6월 6·19 가계부채대책을 시작으로 8·2 부동산대책, 9·13 부동산대책 등 규제를 줄줄이 내놨다.
'당근' 격으로 3기 신도시를 지정하는 등 공급대책을 세 번에 걸쳐 내놓은 상태다. 그러나 서울의 핵심지 수요를 분산시킬 만한 곳이 아니라 경기도에서도 현재도 상황이 좋지 않은 곳에 '공급폭탄'을 안겨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 정부 들어 각종 공급 규제를 내놓아 이것이 오히려 '역설'로 강남뿐 아니라 용산·마포·성동 등 강북 집값까지 수직 상승시켰고, 이를 막기 위해 서둘러 더 강한 규제를 내놓아 소강 상태에 들어간 것을 '주택시장 안정화'로 표현하며 자화자찬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전 정부 때보다 문재인정부 들어서 집값이 훨씬 더 큰 폭으로 올랐다는 점도 지적했다. 규제를 강하게 내놓을수록 오히려
[박인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