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일 국토연구원과 새만금개발청이 수립한 '새만금 스마트 워터프론트 시티' 계획안에 따르면 매립으로 조성되는 배수갑문 주변 국제협력용지 52㎢ 중 6.6㎢, 축구장 924배 넓이를 신도시로 개발하기로 했다. 국제협력용지는 새만금 신항만 배후이자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종점부다. 후년에 착공해 2024년 말 준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신도시에는 상주 인구 2만1000여 명을 목표로 1만가구에 이르는 주택을 함께 짓기로 했다. 개발비는 1조원에 이른다.
수변도시(Waterfront), 스마트도시(Smart City), 친환경도시(Eco-Friendly) 콘셉트다. 사업용지 60%는 매립하고 40%는 호수와 수로를 조성해 호수와 수로변에는 인공해변과 수상호텔, 윈드서핑과 세일링 요트 등 레포츠 시설을 집적화한다.
안충환 새만금청 차장은 "주변 태양광·수력 발전 등과 함께 에너지 자립 시스템을 대거 도입하고 스마트 빌딩과 스마트 교통망을 비롯해 순환형 빗물 활용 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
해당 도시에 입주할 젊은 층의 정보기술(IT) 기업 종사자·연구자 등을 겨냥해 홍콩·뉴욕 등의 스튜디오형 주택과 고급 수상주택 등을 짓겠다는 것이다. 안 차장은 "도시 내 어디든 수변 조망이 가능하고 500m 내 수변에 접근이 가능하다"며 "서핑, 요트, 물놀이 등 관광·레저 시설도 대거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홈 서비스나 자율주행 대중교통 등을 도입하고, 관광객들도 문화시설 공간에서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반면 새만금 매립지의 최핵심지인 국제협력용지는 애당초 국제산업단지 등으로 계획됐는데, 절반 이상 면적은 태양광발전용으로 활용하고 주택까지 1만가구가 들어서는 데 따른 논란도 예상된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국내 거시경제가 되살아나지 않는 한 군산 등 산업도시 주변 부동산 경기 침체도 수년간 지속될 것"이라며 "1만가구 대규모 주택 공급은 주변 부동산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중이
안 차장은 "태양광 등 새만금 재생에너지 산업은 개발 수요가 낮은 위치의 매립 전 수상에 설치해 신도시나 산업단지 등의 자체 전력 충당과 개발에 필요한 투자금 마련에 주는 도움도 적지 않다"며 "당초 목적대로 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지용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