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인원에 따른 가구비율 추이(자료=통계청 장래가구추계) |
23일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은 근로자가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하는 55세 이상의 1∼2인 가구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중소형 주택 중심으로 주택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가구수 중 1∼2인 가구 비중은 2000년 34.7%에서 2016년 54.7%로 증가했다. 특히 2008년 기점으로 전체 가구 중 1∼2인 가구(45.7%)가 3∼4인 가구 비중(45.5%)을 넘어섰고, 2012년 50.5%로 전체 가구의 절반을 넘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1∼2인 가구 중 가구주가 55세 이상 비중이 50.9%로 나타나 과반수를 차지한다. 2010년 이후 연령대별 가구수 증가율도 65세 이상 가구가 5.5%, 55∼64세 가구가 8.3%로 나타나 이 두 연령대에서 전체 1∼2인 가구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1∼2인 가구 중에서 중소형 주택 거주 비중은 34세 이하 9.6%, 35∼54세 18.6%, 55세 이상 49.9%인 것으로 나타나 고령층 일수록 중소형 주택 거주 비중이 높았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2014∼2015년 자료를 기준으로 1∼2인 가구주 연령대별 이사 전후 전용면적을 추적 조사한 결과, 가구 확장 연령대인 35∼54세는 이사 이후 주거면적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5∼64세는 이사후 전용면적이 76.4㎡에서 74.6㎡로, 65세 이상에서는 80.8㎡에서 77.2㎡로 줄어들어 고령층 1∼2인 가구에서 이사후 주거면적이 줄어드는 ‘다운사이징’이 확인됐다.
55세 기점으로 근로자 은퇴가 본격화되며 자녀 결혼 등에 따른 분가로 주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이 2012년부터 올해 7월까지 주택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1∼2인 가구 증가로 아파트는 중소형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소형(전용면적 60㎡이하)이 10.4%, 중소형(60-85㎡)이 5.8% 상승한 반면, 중대형(85-135㎡)은 약 1% 하락, 대형(135㎡초과)은 7.1% 하락해 차별화됐다.
아파트 거래량도 전용면적 85이하 소형과 중소형 아파트는 2012년 81.5%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올해 6월 기준 87.2%로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택수요 변화에 따라 주택공급도 최근 중소형 위주로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85㎡ 이상 공급이 2011년 18.5%에서 올해 6월 12.8%로 감소한 반면, 60-85㎡ 중심으로 공급이 확대되며 85㎡ 이하 면적의 주택공급이 2011년 81.5%에서 2016년 6월 87.2%로 5.7%포인트 증가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베이비부머가 고령인구로 진입되는 2018년이후 1∼2인 가구 증가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노년층의 중소형 주택 거주와 투자자산으로서 선호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소형 주택 및 준주택의 안정적 공급과 주거 관리를 위한 임대관리업 성장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